참아주는 건 그만하겠습니다 - 나를 막 대하는 인간들에게 우아하게 반격하는 법
로버트 I. 서튼 지음, 문직섭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9년 3월
평점 :
절판


또라이라는 말은 주로 비상식적이고 무례한 행동을 할 때 사용되는 비속어다. 물론 청년층들이 쓰는 돌아이, +i는 긍정적인 칭찬의 의미 곧 기지발랄하고 독특하다로 많이 쓰이지만 또라이는 이와는 구별된다. 영어 asshole이라는 단어가 이와 비슷한 뜻으로 쓰이는데, 로버트 서튼(Sutton, Robert I.)의 책 'The No Asshole Rule : Building a Civilized Workplace and Surviving One That Isn't'은 우리나라에서 '또라이 제로 조직'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된 바 있다.

 

그런데 또라이는 다른 또라이를 낳는 것 같다. 영화 뺑반에서의 정재철이도 그의 주위에 있던 또라이들에 의해 만들어졌으니까. 저자는 또라이들로 인해 사회적인 비용이 만만치 않다고 여러 사례들을 통해 말하고 있다. 그는 섣불리 판단하지 말 되 단호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칼 와익을 통해 현명한 태도를 갖길 바란다. 현명한 사람이란 자신의 믿음에 따라 행동하는 용기와 자신이 잘 못 생각할 수 있다는 겸손을 동시에 갖고 있으며 보다 나은 정보가 생기면 자신의 믿음과 행동을 바꿀 준비가 되어 있는 자라고 말한다.

 

저자는 또라이 전문가답게 많은 자료들을 통해 다양한 사례들과 퇴치법을 소개한다. 가장 최선의 방법은 그들로부터 멀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여러 가지 사정으로(직장상사나 빚으로 인해 당장 퇴사할 수 없는 경우 등) 그렇게 하지 못할 경우에는 어떻게 그들의 영향을 적게 받을 것인가 제시해 주고 있다. 그리고 그들을 퇴치하는 방법까지 제시한다. 물론 그것을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우리 사회에도 상사의 갑질이나 동료들의 왕따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 문제는 단순히 개인적인 문제라기보다는 사회적인 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성공위주, 성과 위주로 사회가 돌아가다 보니 때로는 억압적으로 통제하고 밀어붙이는 경향이 많았는데 이러한 부작용들이 나타나고 있다. 좀 더디더라도 공동체 구성원 하나하나가 행복하기를 바라고 좀 더 멀리 보는 안목이 우리에게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또라이없는 공동체나 집단을 이루기를 소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