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습, 책을 지적 자본으로 바꾸는 10가지 습관 - 삶의 격을 높이는 1% 독서법
윤영돈 지음 / 예문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습 곧 독서 습관을 들이는 것은 현대인들에게 쉽지 않은 것이다. 무엇보다 스마트폰이 가장 가까이서 유혹하기 때문이다. 시간이 날 때면 아니면 시간을 내어서라도 쳐다보는 것이 이 기기다. 그런데 유대인들이 아이들에게 영상 교육보다는 토론과 대화를 끊임없이 하도록 가르치듯이 책을 읽고 나의 의견을 이야기하고 또한 상대의 이야기를 듣는 과정을 통해서 아름다운 공동체를 만들어가고 성숙한 삶으로 나아가지 않나 생각된다. 무엇보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세상을 알아가고 극복해 가는 힘을 기르지 않나 싶다.

 

저자는 읽는 법을 여러 가지로 소개한다. 문독, 선독, 수독, 숙독, 낭독, 연독, 만독, 탐독, 해독, 적독 등 10가지를 소개하고 있다. 각기 장단점이 있고 연령이나 각자 처한 상황에 따라 읽는 법을 달리 해야 하겠지만 한 번쯤 따라 해복 싶은 것들도 있다. 질문하며 읽는 다는 문독. 주입식 교육을 받은 우리에게는 가장 쉽지 않는 읽는 법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의문부호가 느낌표로 바뀔 때 그 기쁨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저자는 질문도 유형이 있다고 말한다. 동양과 서양의 질문법도 조금은 다르다. 그리고 골라서 읽는 선독은 물론 책을 선택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물론 자기에게 맞는 책을 고르는 것이 기본이겠지만 나름의 방법을 소개한다. 옛날에는 책이 많지 않아 다다익선이었지만 오늘날은 그야말로 책이 넘쳐난다. 그래서 먼저 읽고자 하는 책을 고르고 인터넷에서 서평이나 출판사 평등을 살펴보고 서점에서 직접 골라 보라고 말한다. 손으로 읽는 다는 수독에서는 책을 거칠게 보라고 말하고 있다. 나름의 방법으로 책에 표시를 하는 것이다. 너무 책을 깨끗하게 보지 말고 흔적을 남겨야 기억에 남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생각하며 읽는다는 숙독이다. 책은 읽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깨닫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그는 특별히 나이에 맞는 책을 선택해 주는 친절을 베풀고 있다. 10대와 20대 그리고 3-40대에 읽어야 할 책들을 몇 권씩 소개하고 있다. 낭독은 글자 그대로 소리 내어 읽는 것이다. 이것의 장점은 읽으면서 외워버린다는 것이다. 그리고 외우면 이해가 된다는 것이다. 그야말로 입체적인 공부법인 것이다. 유대인들은 도서관에서 이렇게 책을 읽는다고 한다. 그리고 열띤 토론을 한다고 한다. 진정한 깨달음을 얻고자 치열한 논쟁을 하는 것이다.

 

그 외에 연독이 있다. 이것은 한 분야의 책을 한 권을 읽는 것이 아니라 여러 권을 읽는 것이다. 1권만 읽으면 저자의 생각을 읽는 것이 아니라 자기 나름대로 생각하기 쉽기 때문에 저자의 다른 책을 여러 권 읽거나 그와 만나는 시간을 갖는 등 어느 정도 그 책과 떨어져 있어야 제대로 그 책을 이해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만독이 있다. 책을 그냥 읽고 지나치는 것이 아니라 꼭꼭 오랫동안 씹어 삼키는 것이다. 책 읽는 것을 하나의 놀이로 지적 재산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그리고 탐독이 있다. 단순히 재미로 책을 읽는 것이 아니라 그 책에 쏙 빠져 들어가는 것이다. 진정한 독서의 기쁨을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이때 비로소 내면의 행복을 맛 볼 수 있다. 저자는 이제 해독을 말한다. 책을 읽으면서 깨다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단순히 독해력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문맥과 맥락을 이해하는 문해력을 말한다. 꾸준한 독서와 해독에 초점을 맞춰 자기 생각이 담긴 독후감이나 서평을 꾸준히 쓰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책을 쌓아 놓고 읽는 것이다. 책장에 책을 쌓아 놓는 다는 것이 요즘 같은 시대에 무모한 짓 같지만 책장에서 내가 원할 때마다 꺼내 읽을 수 있다는 것만큼 행복한 것은 없을 것이다. 이것이 진정한 독서가요 애서가다.

 

책을 읽는 습관은 어쩌면 저 멀리 내 던져져 있는지 모른다. 필요할 때 몇 권씩 서서 읽거나 인터넷이나 컴퓨터의 도움을 받아 정보를 얻는 수준에 불과할 지도 모른다. 그러나 진정한 내면의 행복을 위해서는 독서 습관이 중요하다. 저자의 열정에 드러나는 책이다. 또한 이 시대 모두에게 필요한 조언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