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의 정석
장시영 지음 / 비얀드 나리지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영어 문법을 공부할 때 낯 섬과 따분함이 지금까지 남아있다.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아직도 영문법은 익숙하지 않다. 게으름과 무지의 결과이겠지만 처음 배움의 시작이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느끼고 있다.

 

오래전부터 영어를 해석하거나 읽을 때 우리 말로 해석하지 말고 영어의 순서대로 해석하라는 이야기는 있었다. 직독직해를 하는 분들이 이렇게 주장하였다. 그런데 저자도 비슷하게 영어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순서대로 읽고 해석하는 습관을 갖도록 말한다. 곧 우리 안에 2가지의 언어 습관을 처음부터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수도꼭지에 온수와 냉수가 따로 있어 온수가 필요할 때는 온수 쪽으로 수도꼭지 방향을 틀어 사용하고 차가운 물이 필요하면 냉수 쪽으로 방향을 돌려 사용하듯이 영어 어순을 우리 뇌에 각인시켜 자연스럽게 말하고 듣고 읽도록 훈련하도록 한다.

 

저자가 말하는 영어의 어순 원칙은 주어로부터 심리적, 물리적으로 가까운 순서대로 단어가 배열된다는 것이다. 곧 주어 다음에 주어의 마음 상태를 나타내는 조동사 그리고 주어의 행위를 나타내는 동사 그리고 뒤쪽에 주어의 행위가 미치는 대상 곧 목적어가 나온다고 말하고 있다. 상당히 재미있고 신선한 발상이라는 생각이 든다. 물론 이러한 원리에 예외는 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부정문이나 의문문이 그것이고 저자는 명사 부가설명도 예외 중의 하나라고 했지만 이것은 틀 자체는 바꾸지 않고 뼈대를 이루는 주어와 목적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덧붙인 것이기에 좀 복잡해졌다, 문장이 길어졌다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저자는 명사 부가설명을 나무의 가지에 비유하고 있다. 그래서 언어를 하나의 나무에 비유한다면 그 줄기를 이루는 주어와 동사 그리고 목적어에 가지가 여러 갈래로 뻗어 풍성하고 아름다운 나무가 된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기에 여러 가지 다양한 가지에 해당하는 표현들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특히 저자는 전치사를 새롭게 부각시키고 있다. 그 중요성에 비해 지나치게 평가 절하되었다고 보고 있다. 전치사의 배열도 영어 문장의 어순과 같이 단어와 단어에 전치사도 이런 순서를 따른다. 예를 들면 I am behind the door.에서 behind가 주어로부터 더 가까이 있기 때문에 the door 앞에 나왔다고 말한다. 좀 비약인 것 같기도 하지만 이치적으로는 고개가 끄떡여진다. 다만 이러한 사고에 익숙해 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 전치사에 가장 비중을 많이 둔 저자는 그 다음에 접속사를 집중적으로 한 다음에 기본편을 마친다. 그리고 심화 편에서는 동사(조동사, be동사, 일반 동사)와 관계대명사와 전치사와 접속사를 다시 등장시키고 있다.

 

우리는 영어를 오랫동안 체계적으로 배우지만 시험을 위해서 배운다. 활용능력은 그 다음 문제다. 그러나 모두가 번역가가 되거나 학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오로지 하나의 언어로서 배우고 익혀 자신과 모두를 위해서 써야 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가 아닌가 싶다. 저자의 노고에 박수를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