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미안 수업 - 어떻게 가치 있는 것을 알아보는가
윤광준 지음 / 지와인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름다움을 보는 눈은 누구에게나 있을까? 아니면 특별한 재능을 가지고 태어난 이들만 가능할까? 절대음감은 타고난 소수에게만 있다고 하는데. 화가나 음악가는 타고난 재능이 있어야 한다고 하는데. 그것을 볼 수 있는 눈 또한 타고나야 하는 걸까? 저자의 말을 빌리면 수많은 연습을 통해 이것들을 볼 수 있는 눈은 길러진다고 한다. 물론 그것들의 규칙이나 원리를 알아야겠지만.

심미안, esthetic sense 을 통해 겉으로 드러난 것뿐만 아니라 내적인 아름다움을 볼 수 있는 힘을 갖는 방법을 맛보게 되었다. 눈으로 아름다움을 보는 그림은 단순히 드러나 모습뿐 아니라 그 안을 보는 아름다움을 준다고 한다. 미술관이나 가까이서 볼 수 있는 전시관 등을 통해 촉감이나 느낌을 공유할 수 있어 살아 숨 쉬는 것을 볼 수 있다고 한다. 음악은 금방 사라지는 아쉬움을 통해 순간의 행복을 누리는 법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지금 이 순간에만 누릴 수 있는 행복 그것이 음악이다. 어제나 내일이 아닌 바로 지금, 현재의 기쁨과 아픔을 공유할 수 있는 아름다움, 그래서 젊은이들이 열광하는 것 같다. 어느 시대나 음악은 젊은이들을 광란 속으로 빠져들게 했다.

건축은 자연의 위대함을 그리고 인간의 탁월함을 보여준다. 자연의 공간을 실내로 끌어 들이고자 하는 그들의 끝없는 도전은 인류를 조금씩 새롭게 만들어 간다. 크고 웅장한 건축물 뿐 아니라 아무리 작은 공간이라도 인간의 삶이 녹아들어 있고 그들의 이상과 꿈이 그리고 생각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것이 인간이 만들어 낸 건축물들이다. 이를 보면 그들의 사상을 알 수 있고 시대를 투영할 수 있다.

저자는 사진과 디자인을 통해 인생의 임팩트와 일상의 아름다움을 소개하고 있다. 사실 너무 바쁘게 살기에 일상의 여유를 시간을 찾기 못하지만 부유한 삶이 아니더라도 현재에 만족하는 삶은 있는 것으로도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물질적인 풍요로움에서 조금 벗어나 내적인 아름다움을 조금씩 쌓아가는 것이 좀 더 인생을 풍요롭게 살 수 있을 것 같다. 저자처럼 여유를 갖고 살기는 힘들지만 위의 5가지 중 적어도 하나는 누릴 수 있는 시간과 마음을 갖고자 소원한다. 사실 아이들이 자기 전에 음악을 틀어 놓거나 스마트 폰을 켜 놓는 것을 이해하지 못했다. 전자파를 뒤집어쓴다고 잔소리를 해 대곤 했었다. 그런데 음악은 그들에게 친구였다. 말이 통하지 않아도 음 자체로 몸에 전달되는 기쁨과 평안이 그들을 가까이 하게 하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