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s 브랜드 전도 - 문턱을 낮추면 사람이 보인다
김성태 지음 / 교회성장연구소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도는 모든 그리스도인의 사명이지만 대부분 가장 힘들어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저자는 불신자들을 전도하러 나가고 교회 구성원들의 삶을 현장에서 보고 싶어 자주 밖으로 나간다고 한다. 그는 깊이 있는 말씀과 고상한 삶보다 사도 바울처럼 복음을 들고 사람들에게 달려가는 것을 앞세운다. 옆집 아저씨처럼 친근하게 다가가고 단순하지만 생명력있는 말씀을 전하려고 노력한다고 한다. 어쩌면 그는 현대인들에게 가장 적합한 사명인인지 모르겠다. 대부분이 바쁘고 인내심이 부족하다. 저자가 말한 것처럼 설교자의 말을 끝까지 듣기가 쉽지 않다. 그렇다면 아주 짧은 시간내에 복음을 전해야 하고 그렇게 하려면 아주 단순해야 한다. 그들의 언어로 전해야 한다.

저자는 단순하지만 성도들과 아주 밀착된 삶을 살아간다. 설교를 준비하다가도 잘 되지 않을 때는 그들에게 달려가 그들의 삶을 보고 그들의 어려움과 아픔을 느끼며 다시금 메시지를 준비한다고 한다. 어쩌면 그런 삶이 살아있는 설교자의 삶이 아닐까 생각된다. 현장과 강단의 언어가 다르면 전달력이 떨어지고 이질감을 느끼기 쉽다. 고상한 말이나 달콤한 단어들이 사람을 변화시키지는 못한다. 저자처럼 그들의 아픔과 고통에 동참하고 다가갈 때 마음의 문을 열고 복음을 듣게 된다. 물론 교회마다 특징이 있고 색깔이 있지만 저자와 같은 가벼운 것 같지만 쉽게 접근해서 말씀을 받아들이도록 하는 분들도 필요하고 이것이 하나의 은사일 것이다.

하나님께서 여러 모양으로 사람을 쓰신다는 것을 보게 된다. 저자가 주장하는 브랜드 전도가 무엇일까? 쉽게 말해 지역에서 교회의 인지도를 높여 교회에 관심 갖도록 한 다음 내용 곧 복음을 채우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교회 자체에 대한 거부감을 갖고 있고 관심이 아예 없는 사람들이 많기에 저자는 이런 방향을 잡은 것 같다. 이를 위해 한 발 더 뛰고, 관심 갖고 다가가는 것일 것이다. 여러 모양으로 전도의 돌파구를 찾아가는 것이 우리에게 필요하다. 우리의 사명이 전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일단 전도가 되어야 제자양성도 되기 때문이다. 다양하신 하나님을 만나 기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