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줄다리기 - 언어 속 숨은 이데올로기 톺아보기
신지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단어 하나에도 이데올로기가 들어 있다는 말이 왠지 무섭게 다가온다. 물론 언어가 사회적 소산물이긴 한데 단어 하나하나에도 이런 뜻이 숨어 있다는 것이 새삼 놀랍다. 그러기에 많은 사람을 상대하는 이들은 특히 말을 하는데 있어서 조심해야 하지 않나 생각된다. 요즘은 정치인들보다 연예인들이 더 대중들과 소통하기에 이들의 말과 행동도 영향력이 상당히 크다.

저자가 먼저 꺼낸 단어가 ‘대통령’이라는 칭호다. 이 단어는 엄밀히 말하면 대의 민주주의 시대인 오늘날과는 좀 동떨어진 느낌이다.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크게 거느리고 다스리는 사람이다. 봉건주의 시대에 맞는 단어다. 권력이 국민에게 있다는 민주주의 시대와는 거리가 멀다. 그런데 거기다 얼마 전까지 우리나라는 대통령각하라는 표현을 공공연하게 했다. 그 유래가 조선시대 신분사회에서 나온 호칭에서다. 그러니까 ‘폐하, 전하, 저하, 합하’ 등과 같이 사용되던 용어다. 그러니까 신분이 높은 사람들을 함부로 말하거나 부르지 못하기에 그들의 이름을 부르는 대신에 자신을 낮추어 부르는 것이다. 예를 들어 폐하는 황제나 황후 앞에 나갈 때 폐하라는 단어를 사용하는데 이 뜻은 ‘저는 돌계단 아래에 있습니다.’ 라고 말하며 자기가 그 자리에 있다는 것을 알린 것이라고 한다. 그 중에 각하는 조선시대에 왕세손이나 정2품 이상의 고위관료에게 사용했던 용어라고 한다. 이처럼 중세 신분사회에서 사용하는 단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이러니하고 존칭의 의미도 맞지 않다. 이에 시대에 맞는 호칭을 민의를 뜻을 모아 만들어야 한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그리고 한 쪽의 관점만 부각시켜 교묘하게 말하는 것과 미혼과 비혼의 표현들, 미망인과 유가족, 여교사와 여성 교사, 청년과 젊은이, 요즘 애들과 요즘 어른들, 자장면과 짜장면, 용천과 룡천 등을 줄다리기로 표현하며 자세하게 설명해 주고 있다.

대부분은 그냥 습관적으로 사용한다. 이국종 교수처럼 그냥 대통령을 높이다 보니까 각하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그러나 정치인들이나 유명인들은 특별한 의도를 가지고 말한다. 그러기에 말에는 분명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 그런데 변명이나 해명도 없이 일단 내뱉고 보는 이들이 아직도 많다. 그러기에 우리 모두가 성숙한 민주 시민이 되어 눈에 불을 켜고 톺아보아야 한다. 우리는 민주사회의 주인공들인 민주시민들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촛불의 위력을 보았다. 우리 사회 구석구석 아직도 남아있는 권위적이고 봉건적인 요소들을 찾아 바꾸어야 할 책임이 우리 모두에게 있다.

조금은 지루하지만 때로는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이렇게 꼼꼼하게 챙기는 이들로 말미암아 이런 사회가 제대로 굴러가지 않나 싶기도 하다. 보이지 않는 데서 자신의 역할을 다하는 이들에게 경의와 박수를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