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 - 뇌과학과 임상심리학이 부서진 마음에게 전하는 말
허지원 지음 / 홍익 / 201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임상과 심리학 그리고 뇌 과학이 만나 낮은 자존감, 완벽주의, 죄책감, 우울한 감정을 버릴 수 있는 길을 찾고 있다. 그가 전공한 임상심리학에 자기공명영상(MRI)을 통한 뇌의 움직임을 제공하면 치료에 도움이 될까 하는 생각으로 생소했던 뇌인지 과학을 공부하게 되었다고 한다. 저자는 자신이 연구한 것을 한 사람이라도 더 살리고자 이 책을 쓰게 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자존감이 낮다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저자의 말처럼 이것은 다분히 주관적인 판단일지 모른다. 단순히 성취의 수준÷야망 일까? 그런데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지 자라면서 여러 가지 상처를 받고 자란다. 그래서 뇌의 회백질의 분포가 감소한다고 한다. 곧 이는 신경세포를 자극하여 여러 증상을 나타낸다. 어떤 이는 자존감이 낮아 성취욕구가 아주 낮고 또는 반대로 성취를 추구하는 경향이 지나치게 높아 완벽주의를 가져오기도 한다고 한다. 그러기에 저자의 말하는 것처럼 자존감은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여기에 매일 필요 없이 있는 모습 그대로를 받아들이고 좀 더 긍정적으로 사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지도 모른다.

책을 보다보면 자기 자신을 ‘대충, 그럭저럭 괜찮은 사람’으로 여기며 사는 것이 가장 최선의 삶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는 완벽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도 이렇게 말한다. ‘되면 좋고 안 되면 그냥 말고’ 뭐 그런 거 가지고 그렇게 아등바등 거리냐고. 내가 노력해서 잘 되면 자기효능이 생겨 기분이 좋은 것이고 만약 안 되었다면 그냥 그거로 끝내는 것입니다. 그 사람이 나를 좋게 봤으면 좋은 것이고 그 반대이면 그것으로 그냥 마는 것입니다. 저자의 이 표현이 완벽주의를 추구하다가 깊은 상처를 받은 사람들에게는 하나의 좋은 약인 것 같다. ‘이만 하면 됐다. 충분하다.’ 더 이상 내 마음에 상처를 주지 말라고 조언한다. 어쩌면 저자가 서문에서 언급했듯이 조금은 특별한 사람인지 모른다. 남편의 깊은 배려와 인내심 그리고 아이들의 큰 관심 등을 등에 업고 살고 있기에 이렇게 자심감이 가득할 것이다. 뇌에 나타난 인간의 마음이 다양하게 우리에게 적용될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보통 사람들에게도 이런 방법이 적용될지는 모르겠지만 오늘날처럼 여기저기서 상처를 받고 처지고 바닥으로 내몰리는 상황이라면 우리 모두가 이런 처방을 받아야 할지도 모른다. ‘그냥 살아. 지금까지 잘 살아왔어.’ 상처받은 이들에게 위로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먼저 이 땅에서 발을 딛고 살아갈 수 있도록 그의 자존감을 찾아 주는 것이 필요하리라. 우리 모두가 하나의 공동체가 되어 그들을 감싸야 되지 않을까 싶다. 단순히 학문적 접근뿐 아니라 정치·경제·사회적으로 모두가 힘을 모아야 될 것 같다. 내가 아니라 우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