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초보 7일 완성 손글씨
유제이캘리(정유진) 지음 / 진서원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은 컴퓨터나 휴대폰을 많이 사용하다 보니 손으로 글씨를 쓰는 것이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그래서 그런지 손 글씨를 부담스럽고 불편해 하는 사람들이 많다. 우리 집에도 막내 녀석이 글씨를 알아보기 힘들게 쓴다. 초등학생 때부터 여러 글쓰기 책들을 읽히고 연습을 시켰지만 아직도 보는 이로 하여금 난감하게 할 때가 많다. 이번에는 어떨까 궁금하면서도 기대를 갖고 도전해 본다.

이 책은 지난 번 것들과는 좀 다르다. 보통 정자체를 가르치는 데 저자는 나름의 글씨체를 만들었다고 한다. 저자의 말에 의하면 대부분의 악필 교정책들이 한글의 기본 서체인 궁서체로 글씨를 쓰도록 한다고 한다. 그런데 초보자가 이것을 따라 하기는 힘들다고 한다. 붓이 아닌 펜으로 쓰다 보니 더욱 어려워 중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고민 끝에 저자는 현대인에게 맞는 서체를 만들었다고 하는데 그것이 바로 ‘유제이 서체’라고 한다. 저자는 수년 동안 캘리그라피 수업을 통해 효과를 입증하였다고 말하고 있다.

저자는 7일 동안 이 서체를 연습하도록 한다. 우리가 올바른 글씨체로 봐 왔던 틀에 박힌 글씨라기보다는 자연스러운 글씨체다. 예쁜 글씨, 보기 편한 글씨다. 여기에 맞는 펜도 소개한다. 초보자는 글씨 획의 굵기를 조절하기 힘들기 때문에 두께가 일정하게 나오는 연필이나 펜보다 지그 캘리그라피펜이나 납작펜을 사용하면 자연스럽게 굵기가 조절이 되기 때문에 글씨가 예쁘게 쓰여 진다고 한다. 저자는 자세도 중요하다고 말한다. 또한 펜을 쥐는 것도 적당한 힘을 주어야 한다고 말한다. 저자는 좋아하는 문장을 선택해 처음 시작한 날과 마치는 날의 글씨를 비교해 보도록 권한다. 달라진 자기의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도록 말이다.

1일차는 무엇으로 시작할까? 자음과 모음을 획 순서로 그러니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원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그리고 ㅅ, ㅈ, ㅊ 등은 가운데를 잘 맞춰 대칭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 쌍자음은 2배로 쓰는 것이 아니라 1.5배로 쓸 것을 권한다. 저자는 또한 ‘ㅂ’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2일차는 무엇을 연습할까? 이제 받침 없는 글자를 연습한다. 자음+오른쪽 모음, 아래쪽 모음 등의 주의 사항들을 비교적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 7일차는 받침이 없는 글자와 있는 글자의 조합을 소개하고 있다. 이 글자를 균형감 있게 쓰는 것이 중요하다. 억지로 크기를 맞추기보다 자연스럽게 크기의 차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쓰는 것이 좋다고 설명한다.

부록으로 연습장이 있어 익힌 것을 숙달시킬 수 있다. 물론 다시 초등학교에 들어간 신선한 느낌은 덤이다.

글씨는 옛날에는 마음의 거울이라고 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글씨 자체보다 내용이 중요하다고 말하곤 한다. 그러나 예쁘게 쓴 글씨가 산만하게 쓴 글씨보다 더 눈에 들어오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정성스럽게 쓴 글씨는 어딘지 모르게 차이가 난다. 마음을 담아 글을 쓰는 것을 몸에 익히는 것이 좀 더 어른스러워지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