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주고, 인내하고, 기다리는 유대인 부모처럼 - 유대 5천 년, ‘탈무드 자녀교육법!’
장화용 지음 / 스마트비즈니스 / 2018년 7월
평점 :
품절


자식을 키우는 것이 어쩌면 삶에서 가장 어려운 일일 것이다. 아무리 많이 배우고 아는 것이 많다고 해도 맘대로 되지 않고 우격다짐으로도 되지 않는 것이 자녀양육이다. 저자의 말대로 좀 더 들어주고, 인내하고, 기다리는 마음이 필요하지만 이러기 위해서는 뚜렷한 철학이 있어야 한다. 유대인들처럼 여호와 유일사상이 있어서 그 규칙아래서 교육받고 양육된다면 가능할 일이지만 우리처럼 다양한 가치관과 교육관이 공존하는 환경에서는 쉽지 않다. 그러나 나름대로의 뚜렷한 가치관과 철학을 소유한다면 여러 환경가운데서도 흔들리지 않는 않고 지속적으로 자녀들을 도울 수 있을 것 같다.

유대인들이 말하는 것처럼 자녀에게 행복을 만들어 줄 수 는 없어도 불행하게 할 수는 있다는 자세로 최선의 자세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저자는 3파트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유대 5천년 역사의 탈무드 가정철학과 자녀 교육 그리고 공부법을 차례대로 소개한다. 1파트에서는 특히 아버지의 쉐마 교육법과 탈무드식 대화법이 인상적이다. 쉐마는 구약 성경 중에서 토라의 신명기 6장 4절에 나오는 구절인 쉐마 이스라엘에서 나온 말로 ‘듣다’라는 뜻이다. 이스라엘은 철저히 아버지를 중심으로 이 율법을 가정에서 공부한다. 그리고 철저하게 가정예배를 드린다. 이를 통해 완벽한 가정 공동체를 이룬다. 가정에서부터 듣고 말하고 토론하는 것이 몸에 배도록 훈련하는 것이다. 그리고 끊임없이 질문하도록 한다. 자녀가 질문을 하면 바로 정답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자녀가 충분히 생각할 수 있도록 기다려주며 질문을 한다고 한다. ‘너는 어떻게 생각하니? 왜 그렇게 생각하니?’ 등 우리와는 상반된다. 학교에서 무엇을 배웠는지를 묻는 것이 아니라 어떤 질문을 했는지를 묻는다고 한다.

2파트 자녀 교육편에서는 그들만의 독특한 자녀 교육법이 소개된다. 어렸을 때는 잘 놀도록 하고 엄격한 훈육법으로 돕지만 자녀를 절대적으로 지지해 주고 정답을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배워 나가고 깨달아 가도록 돕는다고 한다. 그들이 자랑하는 하브루타 대화법은 일방적인 가르침이 아니라 서로의 견해를 밝히는 것이라고 한다. 부모라고 해서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자녀의 이야기를 잘 듣고 수용하며 서로 동등한 입장에 선다고 한다. 그들은 격대의 하브루타를 하고 있다고 한다. 곧 부모가 아닌 조부모와 함께 이야기하고 토론하고 절대적인 지지를 받도록 하면 아이는 회복타력성이 강한 아이로 자라 역경을 극복하는 힘이 강하다고 한다.

마지막 3장에서는 짝지어 두 사람이 서로 묻고 대답하는 공부법을 소개하고 있다. 우리처럼 도서관이 조용한 것이 아니라 때로는 싸우듯이 두 사람이 열정적으로 토론하며 공부한다고 한다. 그들은 잘 듣도록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말을 잘 할 수 있도록 가르친다고 한다.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은 알지 못한 것이라고 규정한다.

저자는 자칭 하브루타 교육 전문가다. 자신이 깨달은 것을 확신가운데 전하고 있다. 때로는 이것이 거부감으로 다가오기도 하지만 전문적인 지식을 전하는 것이 아니라 효과적인 의사전달과 유대인들이 가지고 있는 자녀 교육의 장점을 잘 찾아 우리에게 적용시켜가고자 하는 저자 나름의 노력과 열정에 감사를 표한다. 우리만의 분명한 교육 철학이 우리아이들을 더욱 경쟁력 있는 아이들로 자라게 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