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라문의 아들 싯다르타의 깨달음을 얻기 위한 여정은 어느 한 성인의 위대하고 감히 따라갈 수 없는 어떤 경지의 것이 아닌, 진정 인간의 모습을 그리고 있고 그 안에서의 고뇌, 그럼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자기 수행을 하는 과정에 있다.
살아있는 부처라 불리는 스승에 안주하지 않고, 깨달음을 얻은 듯 하는가 하면 다시 인간 본연의 본성인 성과 물욕, 자식에 대한 애착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대목들도 묘하게 설득력 있으면서, 완벽하고 완성됨이 아닌 계속 나아가는 한 인간의 모습을 그린 모습에서 결국 삼라만상 속에 있는 것이 신적인 것의 본성이요 의의라는 것을 깨닫는 모습이 나에겐 더 설득력 있다.
싯다르타는 인생의 여정을 통해 인간이 누릴 수 있는 모든 감정, 애착 등을 다 경험했다. 육체를 떠난 정신세계의 신비로부터 물욕과 유희를 경험하고, 혈육에 대한 애착등을 포함한 모든것들이다. 그런 그가 마침내 뱃사공이 되어 나룻배 다루는 법을 배우는 모습은 우리 모두가 부처가 될 자격이 있는 고뇌하고 깨우치는 사람이라는 것, 나도 그런 사람이 될 수 있다는 한 단계 높은 차원의 깨달음을 느끼게 해준다.
비교적 짧은 소설에 재미와 감동을 다 갖추고 있다. 깨달음을 얻었는데 나타난 아들, 그 아들로 인해 다시 혈육에 집착하는 평범한 모습의 반전도, 살아있는 부처에게서 보다 뱃사공에게서 더 많은 깨달음을 얻는 싯다르타의 모습도 재미있는 부분이다. 사실 읽으면서 뱃사공의 행동과 말에서 독자는 누구보다도 어른다운 모습을 보게된다.
10대 때에 싯다르타를 읽고 어른이 되어도 한참이 된 지금에 다시 읽은 싯다르타는 또다른 교훈을 준다. 나는 아마도 10년 후나 인생의 안정기에 또 한번 읽어볼 것같다. 그 때 읽는 싯다르타는 지금의 배움과 감동보다 조금은 다른 결일지라도, 분명 가치있는 독서일거라는 점은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