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명의 어른은 하나의 도서관과 같다고 한다. 인생의 지혜는 세월의 깊이와 비례하기에 어른의 삶 속에는 돈 주고도 살 수 없는 철학이 많다는 의미다. 그러나 요즘은 도서관이 가장 느리다. 새로운 정보는 언제나 인터넷에서 시작되고 단물 다 빠진 뒤 뼈만 남을 때쯤 도서관에 도착한다. 그래서 요즘 어른들은 아는 것도 많지만 모르는 것 또한 너무 많다. 그날 아빠의 말이 유독 소년 같았던 이유다. 그런 연유로 알게 된 것이다.

내가 아빠의 아빠가 되어줘야 할 때도 있다는 걸.

어른에게도 어른이 필요하다. 만 19세가 넘은 모두를 어른이라 공인하기에 세상은 너무 빠르고, 어렵다. 심지어 더 가파른 속도로 어려워질 것이다. 그렇기에 우린 서로가 서로의 어른이 되어줘야 한다. 다시 한 번 소년 같은 아빠가 될 기회를 줘야 하고 신입사원 같은 부장이 될 용기도 가져야 한다.

어른이라는 이유로 모든 것을 책임지기에
나는, 아빠는, 그리고 우리는
여전히 너무 어리다.

"행복에도 자격이 필요하다." 그때 나는 그렇게 생각했다.

사람은 불행하면서도 행복할 수 있다.

뉴턴의 작용 반작용의 법칙처럼 강한 불행은 그만큼의 행복은 아니어도 적당량의 행복은 반드시 돌려준다. 그러나 우린 그걸 인위적으로 막는다.

어느새 누군가가 대신 벌을 줄 수 있는 나이가 지났다. 고등학교 담임 선생님을 만나도 인생에 대해 논할 수 있는 나이가 됐고 작은 잘못조차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성인이 됐다. 그러나 나는 잘 혼나는 법은 배웠어도 제대로 벌주는 법은 아직 배우지 못했다.

오랜 시간 깊이 우울해한다고 달라지는 건 조금 더 망가진 내 마음밖에 없었다.

요즘은 기록적인 실패를 해도 그냥 내가 웃게 둔다. 불행에 적정 기간 따윈 두지 않고 행복이 새 나올 틈도 기껏 메우지 않는다.

나는 그저 다음 인생을 살 준비가 됐을 뿐이다. 실패는 슬프지만 오늘로 끝낼 것이다. 그게 내가 웃음으로 불행에게 보내는 신호다.

나는 이제 웃으며 다음을 살 것이다.
나는 오늘은 실패했지만, 내일은 웃으며 다시 시작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