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의 생활사
차윤정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4년 3월
평점 :
품절


 

에 대해 알고 싶다.

도심 속에 살다 보니 숲은 멀고 낯선 곳이 되었다. 매년 봄이 되면 황사에 마스크를 쓰고 가습기와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면서도 정작 숲을 찾을 생각은 못했다.

숲에서는 오감이 즐겁다. 맑은 공기와 푸른 식물들로 심신이 편안해진다. 숲을 찾는 사람들은 숲이 주는 혜택을 누리면서도 숲을 제대로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이 책은 <숲의 생활사>로 숲을 구성하는 생물들이 봄, 여름, 가을, 겨울을 어떻게 지내는지에 대한 변화를 선명한 사진과 함께 설명해준다. 인간이 성장하듯이 생물들도 끊임없이 성장하며 환경에 적응하고 환경을 변화시킨다. 사계절의 변화를 숲의 생물을 통해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숲이나 자연은 지구 환경에서 중요하다. 최근 들어 봄이 점점 여름처럼 덥고 일찍 찾아오는 것도 식물 질서를 교란시켜 생태계 문제가 된다고 한다. 무심했던 숲에 대해 알아가는 일은 지구 살리기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숲은 먼지를 흡수한다. 나뭇잎의 거친 표면, 솜털, 줄기의 울퉁불퉁한 껍질, 땅 위의 낙엽 등이 먼지를 붙잡는다. 그러니 왜 숲에 가면 공기가 맑은지 이해가 된다.

이른 봄 들판의 야생화들은 생활사가 짧다고 한다. 더 크고 무성한 식물들이 나오기 전에 서둘러 피었다 사라진다. 그래서 약하게 볼 수도 있지만 빛이 부족한 환경에서 살아남는 것을 보면 그 생명력이 강함을 알 수 있다.

부족한 환경에서 자랄 수 있는 경쟁력이 숲을 유지하는 힘일 것이다.

땅은 어떤 나무가 자라는가에 따라 달라진다고 하니 숲의 생명력은 나무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책을 통해 알게 된 새로운 정보는 억새와 갈대의 차이점이다.

숲에서 자라는 것은 억새고, 연안에는 갈대가 있다. 사진을 보니 이삭 달리는 모양이 다르다. 가늘고 길게 뻗은 억새와 이삭이 촘촘히 달려 수북한 느낌이 갈대다. 둘 다 토양을 비옥하게 해준다는 점은 동일하다. 산불로 훼손된 땅에는 비교적 잘 자라는 억새를 키우면 숲을 조성하기 위한 과도기 형태가 된다. 갈대 역시 뿌리나 줄기에 붙어 사는 미생물들이 유기물질을 분해하여 오염원을 여과하는 기능을 한다.

숲을 알고 잘 가꾸는 노력이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