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의 따뜻한 실용주의 - 이념을 넘어 국민의 삶을 중심에
김태철.황산 지음 / 해냄 / 2025년 9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
대한민국은 지금, 중요한 분기점에 서 있어요.
헌정질서를 바로잡고 무너진 일상을 회복하며 민생경제 위기를 타개하는 것이 급선무인데, 이와는 무관한 얘기를 떠든다면 들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요.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할 사안은 현 정부가 내세운 국정 철학과 비전이 어떠한 정책들로 추진되는지, 국정과제 추진과정을 비롯한 국정 운영에 대한 모든 것이라고 볼 수 있어요. 국민이 주인인 나라, 국민주권정부를 만들어낸 주권자인 국민들이라면 마땅히 알아야 할 내용을 담은 책이 나왔네요. 《이재명의 따뜻한 실용주의》는 '이재명 실용주의'가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알려주는 책이에요.
두 명의 저자는 왜 지금 이재명 실용주의가 우리 사회에 출현했는지, 이재명 실용주의가 단순한 정치 전술이나 방법론이 아니라 유의미한 정치 철학으로 정립되고 있다면서, 이재명의 삶에서 실용주의가 어떻게 형성되고 구체화되었는지를 설명하고 있어요. 이재명 실용주의의 본질과 특징을 이해하려면 인간 이재명을 알아야 하는데, 이제까지 한 번도 본 적 없는 유형의 정치인이 아닌가 싶네요.
이 책에서는 역사 속 실용주의 철학의 기본 원리와 방법, 대표적인 정치 실용주의 사례를 소개하면서 이재명 실용주의를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고 있어요. 이재명의 역량과 자질은 삶의 현장에서 체득한 것으로 이재명 실용주의는 이재명 스타일의 실용주의 리더십으로 드러나네요. 지금 그 실용주의가 각 정책 분야에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는지를 설명하는 동시에 이재명 실용주의 정부의 성공을 위한 열 가지 제언을 하고 있네요. 우리는 국민주권정부의 국민으로서 이재명의 실용주의 정책에 관해 지속적인 관심과 목소리를 내야 해요. 그러기 위해서는 이재명 실용주의가 무엇인가를 똑바로 알아야 해요. 제대로 모르면서 무작정 이념 논리를 펴는 건 무의미한 소모전이며, 옳지 않은 일이니까요.
"이재명의 정치가 사람들에게 강렬하게 다가가는 이유는 그것이 국민들을 '대변'하는 정치가 아니라 현장에서 동행하는 삶의 나눔이었기 때문이다. 정치는 현장을 떠나는 순간 실존을 잃고 방황한다. 정치인의 말이 공허해지는 이유는, 그들의 말이 삶의 현장에서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늘 현장에서 사람들과 대화하고, 메모로 기록하여 즉각 실행하도록 조치했다. 한 사람의 눈물을 들여다보고, 그 눈물에서 정책을 끌어올리는 리더십, 이것이 바로 이재명의 실용주의다." (91p)
이재명 정부는 9월 11일로 출범 100일을 맞이했고, 짧은 기간 동안에 일관된 실용주의 정책으로 놀라운 변화들을 일으키고 있네요. 지긋지긋한 보수-진보의 이분법을 넘어 민생과 성장을 핵심 가치로 삼고 있는 이재명 실용주의가 전 세계의 모범이 되기를 기대하게 되네요. 미국에서 열린 제80차 유엔총회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기조연설을 보면서, 새로운 미래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의 선언이라고 느꼈네요.
"올해는 유엔 창설 8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입니다. 유엔이 걸어온 지난 80년은 인류의 존엄과 가치를 지키고 미래세대를 위한 길을 모색해온 소중한 여정이었습니다 누군가 유엔이 이룬 성취가 무엇인지 묻는다면, '대한민국의 80년 역사를 바라보라', 이렇게 대답하겠습니다. (···) 지난 겨울, 내란의 어둠에 맞서 대한민국 국민들이 이뤄낸 '빛의 혁명'은 유엔 정신의 빛나는 성취를 보여준 역사적 현장이었습니다. 대한민국이 보여준 놀라운 회복력과 민주주의의 저력은 대한민국의 것인 동시에, 전 세계인의 것이 될 것입니다. '당신이 나를 밝은 쪽으로, 빛이 비추는 쪽으로, 꽃이 피고 있는 쪽으로 끌고 가기를 바랍니다'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의 말처럼, 대한민국은 민주주의를 향한 여정을 함께할 모든 이들에게 '빛의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저는 오늘 세계 평화와 인류 공영의 미래를 논의할 이 유엔총회에서, 세계 시민의 등불이 될 새로운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에 완전히 복귀했음을 당당하게 선언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