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렇게 걸작은 만들어진다
톰 행크스 지음, 홍지로 옮김 / 리드비 / 2025년 3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
톰 행크스는 과거 할리우드 영화에서 제가 무척이나 좋아했던 배우예요.
어릴 적에는 영화 보는 재미로 산다고 할 정도로 자주 즐겨 봤기 때문에 할리우드 영화 속 배우들을 줄줄이 읊어가며 관련한 이야기에 빠져 지냈더랬죠. 그때는 할리우드 영화가 주는 감동이 어마어마해서, 극장 가는 길은 늘 설렜던 기억이 나요. 그래서 '평생을 영화에 바친 할리우드의 영원한 스타, 톰 행크스의 첫 장편소설!'이라는 문구를 본 순간, 만감이 교차했네요. 근래에 그의 소식은 애니메이션 '토이스토리'에서 우디의 목소리 연기와 간간이 들리는 영화 이야기였는데, 일흔이 다 된 지금 소설가 데뷔라니 뜻밖의 소식이지만 반가웠어요. 진짜 이야기가 나왔구나 싶었거든요.
《그렇게 걸작은 만들어진다》는 배우이자 제작자로 할리우드 영화 현장을 누볐던 톰 행크스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장편소설이에요.
자신이 걸어온 영화 인생을 에세이가 아닌 소설 형식으로 출간했다는 점이 흥미로웠어요. 걸작이 만들어지기까지, 히어로 한 명만으로는 어림도 없는 일이라는 점, 바로 그 과정을 다룬 이야기라서 스크린에 나오지 않는 수많은 이들을 중심이 되는 방대한 소설이 완성되었네요. 영화 제작과는 무관한 삶을 살아온 수많은 독자들 입장에서 실감나는 제작 현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특별한 이야기였네요. 우아한 백조의 수면 아래 움직이는 분주한 발처럼 제작 과정은 녹록치 않다는 것. 소설 속 감독 빌 존슨은 반드시 흥행시킬 만한 작품을 만들어야 하는데 현실은 엉망진창, 과연 무사히 영화를 끝낼 수 있을지, 덩달아 조마조마한 심정으로 그들을 지켜보게 되네요. 예술영화와 상업영화를 구분하는 기준은, 뭐니뭐니 해도 머니,자본이 투입되어 수익을 내는 구조의 차이가 아닐까 싶어요. 거대 자본이 투입되는 영화 산업에서 흥행에 성공하느냐, 못하느냐는 감독뿐만이 아니라 제작 현장에 있는 모든 사람들의 생계가 걸린 문제라는 것, 이래서 영화는 예술 영역에 속하지만 영화 제작은 치열한 삶의 현장이 되나봐요. 영화제작이 이토록 험난한 여정이었다니, 정말이지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제작 이야기였네요.
"자기랑 나는 텍스트와 서브텍스트의 틈바구니에서 뒹굴려고 여기 있는 게 아냐. 우리는 제작부야. 우리는 문제를 다루지. 가령 기초 산수. 두 페이지당 하루로 계산하면 촬영에는 며칠이 걸릴까?"
"63일 반요."
"촬영일이 63일이면 예산은 120만 달러 초과되고 우리 보스는 산 채로 끓는 물에 처넣어질걸."
"그래서······. 우리 예산은 55일짜리야. 만약 촬영을 52일째에 마친다면 우리 보스는 거장을 떠받들어질 거야. 파운틴 애비뉴에서 퍼레이드도 열어줄 테고, 어느 쪽 제안이 먼저 들어오느냐에 따라 향후 오 년 혹은 영화 세 편을 자기 마음대로 결정할 수 있겠지. 물론 영화가 완전히 망하지 않는다면 말이지만. 영화가 망하면 보스는 까맣게 탄 토스트 꼴이 되어서는 자기를 피하는 사람들한테서 동정 어린 시선이나 받을 거야." (180-181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