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욕 3부작 - 그래픽노블
데이비드 마추켈리 외 그림, 황보석 외 옮김, 폴 오스터 원작, 폴 카라식 각색 / 미메시스 / 2025년 4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
굉장히 독특한 그래픽노블을 만났어요.
이제껏 봤던 그래픽노블과는 전혀 다른 느낌이었어요. 원작이 있는 그래픽노블의 경우, 그림은 글을 대변할 때가 많아요. 마치 번역처럼, 글로 표현된 내용들이 그림으로 전환되는 분위기인데, 이 책은 손오공의 분신술마냥 본체와 여러 개의 분신들이 제각각의 존재를 드러내는 것 같아요.
2025년 폴 오스터의 1주기를 맞아 미국과 동시에 출간된 《뉴욕 3부작 The New York Trilogy》은 그래픽노블이에요. 아직 원작을 읽지 않은 상태에서 그래픽노블로 처음 만나는 《뉴욕 3부작》은, 기묘한 세계에 빠져든 앨리스가 된 기분이었어요. 왜냐하면 뉴욕이라는 공간 자체가 실재하지만 실제 경험해보지 못했으니 제게는 가상의 도시와 크게 다르지 않고, 이미 머릿속에 박혀 있는 뉴욕의 이미지들은 전부 외부에서 유입된 거라 그 진위 여부를 확인할 길이 없기 때문이에요. 어쩌면 이번 그래픽노블도 폴 오스터가 글로써 묘사한 뉴욕과는 별개의 뉴욕이라는 점에서 같지만 다른, 그 자체로 모순된 세계를 보여주는 건지도 모르겠네요. 정작 우리가 주목해야 할 건 뉴욕이 아니라 뉴욕에 살고 있는 소설의 주인공인 퀸, 블루, 익명의 비평가인데, 그들이 쫓고 있는 사건과 인물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남은 건 노트 한 권이라는 것이 참으로 묘했어요.
《뉴욕 3부작》은 폴 오스터가 1980년대에 개별적으로 출간한 세 편의 단편 소설, <유리의 도시>, <유령들>, <잠겨 있는 방>을 하나로 묶어낸 작품인데, 그래픽노블로 탄생하게 된 공로는 폴 오스터와 1980년대 말에 친구가 된 만화가 아트 슈피겔만에게 있다고 볼 수 있어요. 아트 슈피겔만이 감독하고 데이비드 마추켈리가 그린 그래픽노블 <유리의 도시>가 1994년 처음 세상에 나왔네요. 폴 오스터가 <유리의 도시>를 집필하던 1981년과 1982년에 아트 슈피겔만은 뉴욕의 시각예술학교에서 폴 카라식을 가르치고 있었고, 폴 오스터와 아트 슈피겔만이 처음으로 만났던 1987년에 폴 카라식은 미술학원에서 열한 살짜리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었는데 그 중 한 명이 폴 오스터의 아들 대니얼인 것을 알고, 그의 책을 몇 권 읽다가 장난삼아 <유리의 도시> 가운데 몇 페이지를 스케치했다는 거예요. 동시간대에 뉴욕에 살았던 수많은 사람들 중 그들이 만나게 된 것은 우연일 뿐이지만 그래픽노블 《뉴욕 3부작》을 보고 나면 다른 생각이 들 거예요. 폴 오스터의 소설은 고전 탐정소설에 포스트모더니즘과 실존주의적 요소를 가미한 작품이라는 전문가의 소견 말고, 제 개인적인 생각은 누군가를 쫓다가 '여긴 어디? 나는 누구?' 정체성 혼란에 빠진 주인공이 되어보는 이야기였네요. <유리의 도시>에서 대니얼 퀸은 전화 한 통 때문에 폴 오스터가 되었다가 피터 스틸먼을 돕게 되면서 헨리 다크이자 피터의 아버지 스틸먼이 되기도 해요. 폴 오스터의 아들 이름이 실제로 대니얼이라는 것, 중년이 된 대니얼은 마약중독자이며 생후10개월된 자신의 딸 루비를 약물중독에 빠뜨려 사망에 이르렀고, 얼마 뒤 뉴욕 지하철에서 의식을 잃은 상태로 발견된 대니얼도 브루클린의 한 병원에서 숨을 거뒀을 때 폴 오스터의 심정은 어떠했을지... <잠겨 있는 방>에서 주인공은 비가 내린 밤 거리에서 택시를 잡으려고 기다리지만 정차하는 차는 없고, 들고 있던 우산을 놓쳐 웅덩이에 빠뜨리지만 주울 생각이 없어요. 보스턴 남부역에 도착하자 뉴욕행 기차는 15분 전에 떠났고, 벤치에 앉은 그는 빨간 노트를 펼쳐 읽다가 갈갈이 찢어 쓰레기통에 버리고, 기차가 역을 빠져나가는 장면으로 끝맺고 있어요. 유리의 도시 속 유령들과 잠겨 있는 방에서 마주하게 되는 이야기, 모두가 똑같이 《뉴욕 3부작》을 보겠지만 각자가 보는 이야기는 다를 거예요. 마지막에 남는 감정과 생각들은, 결국 나의 이야기가 되겠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