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창인의 가시고기 사랑수첩
조창인 지음 / 밝은세상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작가 조창인은 소설 <아내>를 통해 처음 알게 되었다. 그 다음 읽게 된 책이 바로 <가시고기>였다. 그의 소설은 긴 말이 필요 없다. 그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슬그머니 건네 주면 되는 책이다.

두 편의 소설을 읽으면서 가슴이 찡해져서 눈물을 흘렸었다. 책을 읽으면서 눈물을 흘린 것은 참으로 오랜만의 일이었다. 무엇이 나의 눈물샘을 자극한 걸까?

 작가 조창인의 소설이 가슴을 울리게 했던 이유가 무엇인지 <가시고기 사랑수첩>을 읽으면서 알게 되었다. 그의 취재수첩에 적혀 있던 스물 다섯 편의 이야기가 나온다. 모두 이 땅에 살고 있는 이웃일 수도, 혹은 나 자신일 수도 있는 이야기다. 주제는 단 하나 사랑이다.

작가는 말한다.

 

 사랑은 제가 소설을 쓰는 이유입니다. 삶의 목적입니다. 왜 사랑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의 문제는, 결국 어떻게 사랑할 것인가와 다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가슴을 울릴 수 있는 감동은 바로 사랑의 힘이다.

 마치 눈의 여왕에게 붙잡혀 간 카이의 꽁꽁 언 가슴을 녹인 것이 겔다의 뜨거운 사랑의 눈물이었던 것처럼 말이다.

그의 글들은 삶의 진실이 담겨 있다. 연인들의 열정적인 사랑과는 다른 인간에 대한 원초적인 사랑을 말하고 있다. 사랑의 본질은 영원불변하다. 인간의 생은 짧지만 인류가 계속 되는 한, 사랑은 영원할 것이다. 그의 말처럼 우리 삶의 목적은 사랑이기 때문이다.

사랑은 단순한 감정이 아닌 실천이라는 말에 공감했다. 우리가 살면서 느끼는 사랑의 감정은 사랑이라는 실체 중 극히 일부분인 것이다.

그의 수첩 속에는 사람들 사는 이야기가 적혀 있다. 사랑은 살아 숨쉬는 이야기인 것이다.

사랑에 관한 잘못된 오해로 고통 받는 사람들을 위해서 제대로 사랑을 알려 주고 있다.

사랑으로 인해 고통스러운 것이 아니라 사랑을 잘 모르기 때문에 괴로운 것이다.

사랑하는 연인과 이별하여 괴롭고 슬플 때, 사는 것이 지겹고 매일매일이 지옥 같다고 느낄 때, 세상이 자꾸 원망스럽고 혼자라는 생각이 들 때, 누군가가 미워질 때……

우리 스스로 불행하다고 느끼는 순간은 우리 안에 사랑이 말라 버렸을 때이다. 사랑은 외부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한 우물이 마르면 다시 새 우물을 파는 노력을 해야 한다.

다행히 우리 가슴에는 마르지 않는 샘물이 있다. 언제든 그 샘물을 길어 올려 주길 바라면서 말이다.

누군가를 사랑하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라고 했다. 아직 사랑하지 못한 사람은 지금이라도 사랑하면 된다. 사랑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자격도 필요 없다. 따뜻한 심장을 지닌 모든 사람들은 사랑해야 할 의무가 있다. 왜? 우리는 행복하기 위해 이 세상에 온 것이니까. 이 멋진 말은 헤르만 헤세가 했다. 글로써 감동을 주는 작가들은 이미 사랑의 실체를 알고 있었다.

작가 조창인은 내 안에 말랐던 샘물을 솟게 해주었다. 그는 할 줄 아는 것이 글 쓰는 일 뿐이라지만 그 한 가지로 수많은 사람을 감동시켰으니 충분하지 않을까. 그의 글로 감동 받은 사람들이 제대로 사랑하며 행복할 수 있다면 말이다.

 

그의 감동은 삶 속에 있었다.

결혼해서 지금까지 매일매일 행복을 가르쳐줘서 고마워요. 앞으로도 지금처럼 매일매일 행복을 보여주세요. 라고 말하는 그의 아내가 있었다.

우리는 많은 것을 잘 하려고 하지만 정작 가장 중요한 사랑하며 사는 방법에는 너무 서툴었던 것은 아닌지 돌아보게 된다.
사랑은 우리 삶의 의미, 그 자체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