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에 간 해부학자 - 그들의 뼈는 어떻게 금메달이 되었나
이재호 지음 / 어바웃어북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정을 숨길 순 있어도 눈빛을 감추긴 어려워요. 신기하게도 사람들은 자신의 마음이 향하는 쪽으로 눈길이 가더라고요.

《올림픽에 간 해부학자》는 해부학자의 시선으로 바라본 스포츠 속 인체를 다룬 책이에요. 저자는 금메달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하는 올림픽에서 선수들의 상처, 그 아픔의 원인을 해부학의 언어로 풀어내고 있어요. 해부학자가 된 이후 저자는 올림픽을 보면서 즐거움보다는 아쉬움, 안타까움을 느낄 때가 더 많았다고 해요. 올림픽 금메달을 목표로 오랜 시간 노력해온 선수들이 갑작스러운 부상 탓에 모든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는 장면에서 선수들의 다친 뼈와 근육에서 시선이 떠나지 않았고, 올림픽 스포츠 영웅들의 상처와 아픔에 주목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해부학적 여정으로 이어지게 되었다고 하네요.

이 책은 해부학과 스포츠의학을 결합한 인체 이야기와 올림픽 세계 속에 숨겨진 특별한 이야기가 담겨 있어요. 책의 구성은 크게 알리의 주먹, 조던의 무릎, 볼트의 근육, 태극궁사의 입술, 펠프스의 허파로 나누어 각각 올림픽 영웅들의 몸을 해부학적 구조로 설명하고 치명상의 원인을 자세히 분석해주고 있어요. 하계 올림픽 중 스물여덟 개 종목(복싱, 레슬링, 유도, 태권도, 펜싱, 축구, 럭비, 농구, 핸드볼, 배구, 육상, 체조, 역도, 승마, 사이클, 탁구, 테니스, 배드민턴, 골프, 필드하키, 사격, 양궁, 수영, 다이빙, 수구, 요트, 조정, 서핑)에 관한 해부학적인 설명 외에도 각 스포츠에 관한 역사, 정치, 외교, 자본의 논리 등등 다양하고 흥미로운 내용들을 소개하고 있어서 우리 몸에 관한 의학적인 지식뿐 아니라 스포츠의학과 스포츠의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수업을 받는 느낌이에요. 우리의 몸도 아프기 전에는 그 내부를 들여다볼 일이 없잖아요. 물론 병원에 가서 엑스레이를 찍거나 정밀 검사를 해야만 자신의 뼈와 근육을 비롯한 몸속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그것도 의사와 전문의료진이 설명해줘야 제대로 이해하고 알 수 있잖아요. 겉만 봐서도 절대로 알 수 없는 우리 몸의 구석구석을 해부학자의 친절한 설명과 그림을 통해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어서 유익하고 즐거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