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가 일각돌고래라면 -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는 편견에 대하여
저스틴 그레그 지음, 김아림 옮김 / 타인의사유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종족의 지능 덕분에 세상은 더 나은 곳이 되었을까요?

이 질문에 대해 우리는 이미 답을 알고 있어요. 지금 이 시점에서 어디로 향하느냐에 따라 인간의 지능은 지금껏 존재했던 것 중에서 가장 어리석은 무언가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겸손해질 것을 촉구하는 책이 나왔어요. 이 책은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는 편견과 착각을 과학적인 근거와 논리로 낱낱이 깨뜨리고 있어요. 인간의 지적 우월감에서 비롯된 온갖 만행들을 고발하고 있어요.

《니체가 일각돌고래라면》은 동물행동학자 저스틴 그레그의 책이에요.

저자는 돌고래류의 사회 인지를 중신으로 한 동물의 의사소통 및 행동과 인지, 언어의 진화와 그 배경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2004년부터 과학적 연구를 통한 돌고래 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 단체 돌고래 커뮤니케이션 프로젝트에 합류해 지속적으로 활동 중이라고 하네요. 또한 '돌고래 팟'이라는 돌고래 과학 팟캐스트를 운영 중이라고 해요.

왜 니체를 소환했을까요. 그 이유는 실존주의 철학자인 니체가 인간은 고통의 의미를 찾는 존재인 반면에 동물들은 멍청해서 자신의 존재를 사고하지 못하고 불안을 느낄 수 없다는 점을 부러워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저자는 니체가 그토록 불쌍히 여기고 부러워했던 동물이 된다면, 즉 일각돌고래였다면 어땠을까라는 상상을 해본 거예요. 일각돌고래 narwhal 는 저자가 가장 좋아하는 해양 포유류 중 하나인데, 일각돌고래가 된 니체는 실존적인 위기를 경험하는 부조리적인 상황을 어떻게 대처할까요. 인간이 세상을 이해하고 경험하는 방식과 다른 모든 동물들의 방식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는데 그걸 우리는 지능이라고 여긴 거예요. 이 책에서는 지능을 둘러싼 문제와 그것이 좋은 것인지 아니면 나쁜 것인지를 다루고 있어요. 여기에서는 그동안 그토록 똑똑한 척 굴었던 인간의 지적 우월함이 환상이고 착각이라는 걸 조목조목 짚어내고 있어요. 인간의 치명적인 단점은 진화적으로 거짓말쟁이로 설계되었고, 기묘하게도 잘 속이고 또 잘 속는, 거짓말에 취약한 거짓말쟁이라는 거예요. 자연선택은 이미 동물에게서 헛소리를 최소화하는 의사소통 체계를 만들어 냈는데 우리 종족만 예외라서 자기 파괴적인 문제들을 일으켜 왔어요. 우리 종의 역사를 보면 타인의 범주에 속하는 수십억 명의 동료 인류에게 고통과 괴로움, 죽음을 초래하는 폭력 행위를 도덕적으로 정당화해 왔어요. 반면에 동물들은 우리보다 덜 세련된 규범 체계를 가졌지만 훌륭한 삶을 살아가고 있어요. 그러니 우리가 '지능적'이라고 부르는 그 능력이 인간의 전유물이라고 우길 수 있을까요. 저자는 동물들도 우리가 탐구할 만한 감각질로 가득 찬 마음과 인지능력을 가졌다는 사실을 언급하면서 진화가 관심을 갖는 건 행복하고 건강한 동물이 최고의 새끼를 낳는 것이고, 진화가 사랑에 가치를 두는 건 우리가 사랑을 중요시하기 때문이라고 이야기하고 있어요. 과학자의 결론이 사랑이라니 어색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인간의 그 잘난 지능이 해왔던 일들을 생각한다면 역시 사랑이 해답인 것 같아요. 공존을 위한 협력도 사랑에 포함시킨다면 말이죠. 니체는 "사랑을 위해 행해지는 모든 것들은 항상 선과 악을 넘어서 일어난다." (324p)고 말했어요. 저스트 그레그는 인간이 아닌 다른 종들이 우리에게 하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인다면 생존이라는 문제에 대한 우아한 해결책을 찾아낼 수 있다고, 우리에게 자신이 발견한 단순하고도 아름다운 마음들을 보여주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