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라미용실 - 교제 살인은 반드시 처단되어야 한다
박성신 지음 / 북오션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을 뗄 수 없는 복수극이 펼쳐지네요.

잔인하고 소름끼치는 교제살인, 그 비극을 목격한 피해자의 딸 찬서가 주인공이에요. 평생 아물지 않는 상처를 품고 살아간다는 게 무엇인지, 감히 상상조차 할 수 없지만 주인공 찬서와 주변 인물들을 통해 어둡고 축축한 세계를 엿볼 수 있어요. 이 소설에 등장하는 사건이나 지명, 이름은 모두 가상이지만 이미 벌어졌던 수많은 교제살인 사건들을 연상할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 나쁜 놈들이 범행을 저지르기에 알맞은 곳, 무산은 딱 그런 동네처럼 느껴져요. 찬서는 25년 전 사건으로 엄마를 잃었고, 그때의 충격으로 고통을 겪고 있지만 오직 복수를 위해 버텨내고 있어요. 다시 찾은 무산에서 로라미용실의 정 원장과의 우연한 만남으로 탐정 일을 하게 된 찬서는 불행에 빠진 여자들을 돕게 되는 이야기예요. 무산의 여자들이 도움을 청할 곳이 로라미용실밖에 없다는 설정이 전혀 어색하지 않다는 게 우리의 현실인 것 같아요. 아직도 '데이트폭력'이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있는데, 법적으로 결혼하지 않은 상태로 서로 사귀다가 상대를 죽인 사건, 그 죽음은 '교제살인'이라고 부르는 게 맞아요. '데이트'라는 단어 때문에 가려진 심각성을 이제는 드러내고, 살인자를 엄벌에 처해야 해요. 지난해 친밀한 관계의 남성 파트너에 의해 살해된 여성이 138명, 살인미수는 311명이며, 2.7일당 1명의 여성이 아는 남성에게 살해된 것이고 살인미수까지 포함하면 매일 1명 이상의 여성이 살해되거나 살해 협박을 받은 셈이라는 통계가 발표됐는데 언론에 보도된 최소한의 수치라서 실제로는 보도되지 않은 사건을 포함하면 더 많은 피해자가 있을 거라고 하네요. 이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라면 국가적 차원의 대책이 필요한데 아무런 변화가 없네요. 소설처럼 로라미용실이 해결해줄 수는 없는 일이죠. 그럼에도 이 소설을 읽으면서 다행스러웠던 건 찬서 개인의 불행과 복수심이 나쁜 쪽이 아니라 좋은 방향으로 흘러갔다는 점이에요. 거기엔 숨은 조력자의 역할이 컸고, 그 인물에 대한 호기심이 끝까지 몰입할 수 있었던 요소였네요. 결론은 박성신 작가님의 장편소설, 《로라미용실》을 추천한다는 거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