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나카오 사스케 지음, 김효진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농경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이 책은 인류 문화의 근원이 된 농경과 그 문화에 대한 고찰 혹은 탐사 보고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솔직히 역사를 배우면서 신석기 혁명이 가진 의미를 깊이 생각해보지 못했는데, 이 책을 통해 농경의 가치를 제대로 배웠습니다.


저자는 문화라는 말이 영어의 '컬쳐 Culture', 독일어의 '쿨투어 Kultur'를 옮긴 것으로, 본래 '재배'를 뜻한다고 설명합니다.

땅을 일구고 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바로 문화의 본래 의미라는 것입니다.

문화의 출발점은 '재배'라는 인식은 서구의 학계가 연구하고 조사한 결론이라고 합니다. 

그리하여 이 책은 인류 문화의 근원인 농업의 기원과 발달에 대해 살펴보고 있습니다.

우선 재배식물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그 작물의 재배법인 농업 기술을 살펴본 다음에 농업 생산물이 인간의 위장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농경문화의 문화재는 농기구나 농업기술보다 살아 있는 재배 식물과 가축의 품종이 더 중요하고 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재배 식물이 곧 살아 있는 문화재라는 뜻입니다. 농업이란 그 살아 있는 문화재를 선조로부터 물려받아 소중히 기르고 자손에게 물려주는 작업입니다.

또한 농경은 인류의 생존과 번영의 가장 기본이자 필수 요건이라는 점에서 주목해야 합니다.

저자는 '농업의 역사는 재배 식물이 말해준다'라는 원리를 전제로 한 관점에서 인류 역사를 이야기합니다.


현대의 재배 식물은 우리 선조들이 수천 년에 걸쳐 개량하고 발전시킨 땀의 결정체인데 그 기원을 밝히기는 쉽지 않습니다.

전 세계 모든 농민들은 작물의 품종부터 농업 기술, 농지 제도 농경의례까지 선조로부터 계승된 일정한 형식을 따랐고, 조금씩 바꾸고 개량해왔습니다. 그 모든 것이 농민 문화의 중요한 일부가 되었지만 농민에게 농업만이 유일한 문화는 아니었습니다. 노래와 춤, 의복과 장신구 등 예술과 학문이 존재했고, 이러한 모든 것이 합쳐져 문화가 된 것입니다. 전체성을 지닌 문화 중에서 농업에 관련된 요소만 끄집어내어 하나의 복합체가 된 것을 일컫는 말이 '농경문화 복합체 Agricultural Culture Complex'라고 합니다.

이 책에서는 종자에서 위장까지의 과정을 '농경문화 기본 복합체'라고 부르며, 이 부분을 집중 탐구합니다.

기본 복합체의 관점에서 각각의 기원과 발전을 살펴보면, 작물의 종류가 독립 발생한 것인지 전파된 것인지를 확실히 구별할 수 있다고 합니다.

식물학자와 유전학자들의 연구로 많은 작물의 원종과 원산지가 잇달아 밝혀지고 있습니다. 전파 경로는 품종 변화가 나타나는 지리적 분포를 조사하면 신뢰할 만한 수준의 결론을 얻을 수 있습니다.


동남아시아의 열대 강우림 지역에서 바나나, 얌, 타로감자, 사탕수수의 네 가지 재배식물을 개발한 것은 인류 생활사의 혁명 중 하나였습니다. 이 네 가지 작물을 조합한 농업체계 덕분에 강력하고 안정된 식량 생산이 가능해졌습니다. 농업에 의지한 경제가 성립하면서 인류는 구석기 시대의 채집 경제를 벗어나 비약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농경 문화를 근재 농경문화라고 합니다. 녹말질의 감자류 재배가 중대한 특색이기 대문에 근재 根栽 (감자류 재배)라는 말이 사용된 것입니다.

동남아시아의 근재 농경문화는 대륙 북쪽의 온대 지대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바나나 등을 재배할 수 없는 온대 지역에서는 변형된 문화 복합체가 성립했는데, 바로 조엽수림 문화입니다. 

조엽수림 문화가 성립한 것은 서쪽으로 히말라야부터 중국 남부, 일본 혼슈 남반부에 걸친 지역으로 대부분 산악 지대이며 광대한 평야가 거의 없습니다. 차, 실크, 옻, 감귤, 차조기, 술 등이 대표적인 문화유산입니다. 중국, 인도, 일본으로 전파되었습니다. 음, 한국은 왜 빼놓았을까요. 아무래도 일본학자의 책이라서 그런 게 아닐까 짐작해봅니다.

드넓은 아프리카 사바나 지대에서 최초의 잡곡 재배 농업이 시작된 곳은 어디일까요.

정확히 밝힐 수는 없으나 서아프리카의 니제르 강 유역이 가장 가능성 높은 장소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사바나 농경문화는 잡곡을 인류의 식량으로 재배화하는데 성공했습니다. 감자류와는 달리 저장과 운송이 편리하고, 과채류까지 개발되면서 영양 균형이 좋은 식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 점이 특징입니다. 

벼는 습지에서 자란다는 점만 다를 뿐 농경문화 기본 복합체의 유형으로 다른 잡곡과 같은 범주에 들어갑니다. 아시아에서 개발된 벼는 농업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점하며 상당 부분 아시아의 역사를 규정해왔으며, 인류의 미래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저자의 폭넓은 현지 조사와 오랜 연구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라 심도 있는 문화 수업을 받은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