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아름다운 수학이라면 - 내 인생의 X값을 찾아줄 감동의 수학 강의 서가명강 시리즈 3
최영기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름다움을 느낀다는 것은 그것의 가치를 안다는 말일 것이다."  (9p)


이 책의 저자는 "수학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학문입니다"라고 말합니다.

세상에 이런 말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안타깝게도 현실은 수포자(수학을 포기한 사람)가 늘어나고 있으니, 그들에겐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표현일 것입니다.

어찌보면 수포자들은 '수학'의 진짜 모습도 모르면서, 그냥 '너 싫어'라고 외면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이 책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집니다.


저자는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이며, 최근에 제빵기능사 자경을 취득하여 자칭 '빵(0)을 사랑한 수학자'라고 합니다.

이 책에서는 학교에서 사용하는 수학 용어와 개념을 기반으로 수학의 본질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수학을 사랑하는 사람들을 보면, 각자 빠져들게 된 수학의 매력 포인트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중 멋진 녀석을 하나 꼽는다면  χ  , 방정식에 자주 등장하는 미지수 χ 가 있습니다.

어떤 문제를 해결할 때 모른 것을 χ 로 놓는 순간, 문제의 절반은 해결됩니다.

하지만 당연한 과정이 막상 문제를 맞닥뜨리면 잘 떠오르지 않습니다.

더군다나 수학의 언어는 숙달되기까지의 과정이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보니, 그 과정을 힘들어하는 학생들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그 유명한 아인슈타인도 처음에는 그 과정이 지루해서 방정식에 관련된 공부를 싫어하게 되고 수학 자체에 흥미를 잃었다고 합니다.

다행히 그의 곁에는 현명한 삼촌의 가르침이 있어서 수학에 다시 흥미를 느끼고 몰두할 수 있었답니다.

삼촌이 아인슈타인에게 가르친 방식은 스토리텔링이었습니다.

알고 싶지만 모르는 χ 가 범인이고, 나머지 조건들은 범인을 잡기 위한 근거라고 설명하면서 아인슈타인이 실마리를 발견하고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했습니다.

그러니 지금 수포자 중에 또다른 아인슈타인이 있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방정식 풀이를 우리 삶에 적용해보면 어떨까요?

복잡해보였던 문제들이 단순해지면서 좀더 쉽게 실마리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요?

마찬가지로 수학의 개념들을 우리 일상과 연관지어 생각해보면 더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삶에 수학이 들어오는 순간, 마음 속 관념이 형태를 찾은 순간, 사유의 시선이 높아지는 순간... 저자는 그 순간들을 포착하여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토록 수학이 아름다웠던가...라고 반할 정도는 아니어도, 멀리 떨어져 있던 수학과의 거리를 좁힐 수 있는 계기는 된 것 같습니다.


"어느 철학자가 물었다. 수학을 가장 못하는 사람은 누구일까?

이 질문에 대해 우리도 한번 생각해보자.

수학을 가장 못하는 사람은 공부를 못하는 사람일까 아니면 더하기 빼기를 잘 못하는 사람일까?

그 철학자가 내놓은 대답은 '수학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었다."  (80p)


<이토록 아름다운 수학이라면>은 수학이 우리에게 보내는 연애편지라고 생각합니다.

자, 수학의 마음을 받아주실 건가요 아니면 도저히 안 되는 건가요.

마음의 결정을 하기 전에, 일단 연애편지는 읽어봐야겠죠. 그것도 안 보는 건 너무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