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랑새를 만난 한국인 - 21세기 진한국인을 찾아
문미선 지음 / 북산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선집중!

강렬한 노란색 표지에 파란 글자, 그 위에 귀여운 파랑새 그림.

왠지 파랑새가 노란 병아리로 변신할 것만 같은 착시 효과.

파랑새를 만난 한국인.

과연 이 책의 정체는?


바로 '21세기 진한국인을 찾아서'라는 부제를 달고 있어요.

저자는 21세기를 만들어 갈 한국인을 진한국인이라 부르고 있어요.

세계 중심에 자리한 한국인!


이 책의 구성은 세상을 단계별로 알려주고 있어요.

한국인으로서 우리는 세상 어디에 서 있는가?

세상을 이해하고 연구하기.

세상으로 깊게 들어가기.

세상에 다시 서기.

세상과 연대하기.

동화 속 주인공들이 파랑새를 찾아 떠났던 모험처럼 세상을 탐구하는 거예요.

우리가 찾는 파랑새는 '진한국인'이에요.

먼저 나를 알기 위해서 우리의 사회, 문화를 분석해요. 현재 대한민국은 서양문화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문화들이 혼재되어 있어요.

그래서 서양문화를 깊이 이해할 수 있어야 21세기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어요.

책에서는 21세기를 지배하는 핵심적인 외래어 3종세트를 소개하고 있어요.


알고리즘, 리버럴아츠, 큐비트.


우리 생활에 깊숙히 침투한 외래어 3종세트는 우리말로 옮길 수 없는 고유한 용어가 되었어요.

이질적이고 낯선 외래어가 지금 시대를 나타내는 중요한 핵심 키워드가 되었다는 점을 주목해야 돼요.

스티브잡스가 리버럴아츠에 테크놀로지를 접목하여 만든 스마트폰이 세상을 바꿔 놓았어요.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스마트 기기의 보급 확산 및 SNS 등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시공간의 제약을 극복한 상호 소통이 가능해졌어요.

이른바 초연결 네트워크라는 개념이 생겼어요.

따라서 책에서 알려주는 세상은 먼 나라 이야기가 아닌 우리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어요.

궁극적으로는 세계의 중심이 되기 위해서 우리 스스로 한국인의 자리를 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해요.


저자가 제안하는 진한국의 모습은 혁신가이거나 창조자예요.

당장 한국의 교육 현장부터 뜯어 고쳐야 해요. 어설프게 선진국을 모방한 자유학기제 도입은 실패라고 봐야 해요.

미래지향적인 교육방향으로 나아가려면 교육 현장에 있는 선생님과 학생들의 의견들을 반드시 경청하여 정책에 반영해야 돼요.

경제학자들은 21세기의 경제 불평등이 심화될수록, 공교육의 정상화만이 지구촌의 유일한 희망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고 해요.

공교육이 바로 서야 학생들이 진정한 나를 찾고, 세상과 소통하며 탐구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수 있어요.

그래야 사회적 편견을 깨뜨리고 세대 간의 소통과 공감이 이루어질 수 있어요.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 한국인을 위한 파랑새는,

결국 우리 스스로 만들어가는 것임을 보여주는 희망 메시지였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