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영화 《브라이트 스타》. 제인 캠피온이 벤 위쇼를 너무 사랑하신다. 애비 코니시가 아니라 벤 위쇼가 영화의 히로인이야…. (굉장히 치명적이긴 하지만) 진짜 존 키츠는 금발이라는 것만 제외하면 위쇼의 키츠는 너무 완벽하다…. 저렇게 섬세하고 예민하면서도 따뜻하고 병약하고 완전 위쇼를 위한 영화 아니냐. 심지어 자기 짝도 영화에서 만났다. 음악 감독이랑 결혼함. 트레일러 맨 처음에 패니 브론 정말 너무 짓궂다. 존이 말하길, 어젯밤 꿈을 꿨는데 나무 위를 떠다니고 있었고 아름다운 누군가와 입술이 이어져 있었다…. (더 잘 옮길 자신이 없다) 그랬더니 패니가 누구 입술이냐고, 자기였냐고. 입꼬리 진정해…, 대사를 옮겨본다.
John Keats:
I had such a dream last night. I was floating above the trees with my lips connected to those of a beautiful figure, for what seemed like an age. Flowery treetops sprung up beneath us and we rested on them with the lightness of a cloud.
Fanny Brawne:
Who was the figure?
John Keats:
I must have had my eyes closed because I can't remember.
Fanny Brawne:
And yet you remember the treetops.
John Keats:
Not so well as I remember the lips.
Fanny Brawne:
Whose lips? Were they my lips?
출처> http://www.quotes.net/mquote/981934

영화 자체가 뛰어나진 않지만 섬세하고 아름다웠다. 한 번쯤 보셨으면 좋겠다. 키츠와 패니 브론의 사랑에 관한 이야기이다. 사랑하는 이에게 이토록 아름다운 사랑의 맹세를. 빛나는 별이여, 내가 그대처럼 한결같았으면―. 시인이 연인과 주고 받은 서신을 번역하고 키츠의 시를 소개하던 책이 있었다. 솔출판사에서 출간한 『빛나는 별』이다. 예전에 빌려읽고서 우물쭈물하는 사이에 구할 수 없게 되었다. 현재 구할 수 있는 시집은 지만지 출판사에서 나온 『키츠 시선』과 『엔디미온: 시적 로맨스』이 있다. 알라딘에서 처음으로 당선작으로 뽑혔을 때 받은 지원금으로 『키츠 시선』을 샀다. 나름 의미가 있는 책으로, 아티초크에서도 키츠 시선을 번역중이며 출간할 예정에 있는 것으로 안다. 쭉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댄 시먼스의 『히페리온』과 『엔디미온』 시리즈 역시 키츠의 시를 모티브로 한 작품이다. 작품에서 중요인물로(나한테만?) 키츠가 등장하는데 무지 재미있다.






영화 제목이며, 연인에 바친 아름다운 작품….
Bright star, would I were stedfast as thou art—
Not in lone splendour hung aloft the night
And watching, with eternal lids apart,
Like nature's patient, sleepless Eremite,
The moving waters at their priestlike task
Of pure ablution round earth's human shores,
Or gazing on the new soft-fallen mask
Of snow upon the mountains and the moors—
No—yet still stedfast, still unchangeable,
Pillow'd upon my fair love's ripening breast,
To feel for ever its soft fall and swell,
Awake for ever in a sweet unrest,
Still, still to hear her tender-taken breath,
And so live ever—or else swoon to death.
밝은 별이여, 내가 그대처럼 한결같았으면.
밤하늘 높이 걸려 외로이 빛나며
자연의 참을성 있는, 잠자지 않는 은둔자처럼
항상 눈꺼풀 열고
지상의 인간이 사는 해안을 깨끗이 씻어 주는
사제의 임무를 다하는 출렁이는 바닷물을 지켜보거나
산과 황야 위에 새로 부드러이 씌워진
눈의 가면을 응시해서가 아니라,
그런 게 아니라, 언제나 한결같고, 언제나 변함없이
내 아름다운 연인의 무르익은 젖가슴을 베개 삼아
그 부드러운 오르내림을 영원히 느끼면서
영원히 달콤한 흔들림 속에 잠 깨어
언제나, 온화하게 들이쉬는 그녀의 숨결을 항상 들으며 그렇게
영원토록 살았으면 해서. 그렇지 않다면 차라리 혼절해 죽었으면.
『키츠 시선』(지만지), 윤명옥 역
음악감독 마크 브래드쇼의 사운드트랙이 하나 빠질 것 없이 훌륭한데, 그 중에서도 특히 아름답다고 느낀 〈휴먼 오케스트라〉를 링크한다. 위의 영상은 영화 속 클립, 아래는 사운드트랙 앨범에서 추출한 트랙이다. 영화 속에서 오케스트라 앞줄 가장 우측에 자리한 이는 사무엘 바넷으로, 연극과 영화 《히스토리 보이즈》에서 포스너 역을 맡아 열연했던 배우다. 최근 몇 년 셰익스피어 연극에 출연 중이며, 작년이었던가…. 전원 남성으로 구성된 극단이 브로드웨이로 진출하면서 《십이야》, 《리차드 3세》에서 여성 역할을 연기하였고 바이올라 역으로 토니 어워드 수상 후보에 올랐었다. 이 배우의 보물같은 목소리는 지난 조이스 시집 리뷰에서 생각난 노래에 링크하기도 했었다. 벤 위쇼 옆에서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는 사람이 마크 브래드쇼다.
페이퍼의 제목은 『엔디미온』의 도입부이다. “아름다운 것은 영원한 기쁨, 그 사랑스러움은 오로지 증가할 뿐, 결코 무(無)가 되지 않는다네.” (윤명옥 역, 『엔디미온: 시적 로맨스』)
A thing of beauty is a joy for ever:
Its loveliness increases; it will never
Pass into nothingness (…)
출처> https://www.poetryfoundation.org/poems-and-poets/poems/detail/44469 -원문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