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사회 - 인간 사회보다 합리적인 유전자들의 세상
이타이 야나이 & 마틴 럴처 지음, 이유 옮김 / 을유문화사 / 2016년 12월
평점 :
절판


사실 일생을 살아가면서 유전자에 대해 관심을 가진 적이 있었던가하는 생각이 든다. 아마도 학창시절 맨델의 완두콩 실험에 대한 문제를 푼 기억은 있는데, 이것이 유전학이라는 것도 이 책을 통해서 알았으니 말이다.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를 읽은 적은 있지만, 그 내용이 사회에 끼친 영향만을 생각하곤 했었다. 정말 유전학이 무엇인지, 유전자라는 것이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 생각해 본 적이 없다.

 그런데, 이 책 <유전자 사회>를 통해서 유전자가 어떤 것이며, 우리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에 대해서 곰곰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책의 내용은 다소 어렵다고 느껴질 수도 있을 것 같다. 이 분야가 생소한 독자들에게는 이 책에 나오는 각종 전문 용어가 낯설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한 전문용어의 향연에도 불구하고, 이 책의 내용은 이해하기 쉽도록 서술되어져 있다.

 이 책은 제일 먼저 시간은 나의 편, 암의 유전자 공략 작전에서 암이 어떤 유전자 특성을 가졌으며, 암을 극복하는 길은 무엇인지를 이야기 하고 있다. 암의 8가지 특징을 이야기하고, 진화를 통해서 우리가 아홉번째 방어 장치를 가지는 것에 대한 생각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 책의 핵심이자 제목이기도 한 유전체를 구선하는 유전자들을 하나의 사회로 볼 수 있다는 이야기를 저자들은 2장에서 하고 있다. 유전자들 자체는 동일하지 않는데, 이는 돌연변이의 결과로 대립인자라고 불리는 다른 버전의 유전자가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대립인자들이 수 세대를 거쳐서 우열을 가리면서 진화하는 과정을 거쳐서, 유전자 사회는 모든 유전자에 대한 모든 대립인자의 총합이며, 주어진 집단의 유전체 어디에서나 존재한다고 이 책은 서술하고 있다. 그러면서, 유전자 사회와 인간 사회의 경제 산업과 비교하는 그림을 제시하고 있는데, 참으로 흥미롭다.

 유전학의 아버지, 그레고르 멘델이 완두콩 실험을 통해서 우리에게 알려준 것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이 책을 통해서 좀 더 심층 깊게 알 수 있었다. 학창시절 배웠던 단편적인 지식을 넘어서, 유전이 될 수 있는 병마다 하나의 병인이 될 수 있는 돌연변이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하기에, 파키슨병, 우유를 소화시키지 못하는 갈락타오스 혈종에 대한 유전자 변이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테세우스의 썩는 배 역설을 통해서 유전자가 다른 유전자에 기능적으로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를 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 책을 말하고 있다. 그러면서, 어떤 단백질이 어떻게 화학작용을 해서 대립인자와 결합하여 병을 일으키는지에 대한 설명도 해 주고 있다.

 우리들이 아직 정복하지 못한 각종 암과 C형 간염 등이 특정 유전체를 표적으로 삼는 것이라는 것은, 가까운 미래에는 중요한 병을 치료할 길이 열린다는 것이니 말이다.

 이 책은 유전자를 사회와 같은 형태로 보고, 유전자가 모방과 절도, 기생이라는 방식으로 진화해 왔으며, 그 유전자 하나 하나가 사회를 이루어 서로 상호작용을 하고, 이를 후대에 전달함으로써 진화해 온 일련의 이야기들을 풀어 쓰고 있다. 다소 방대한 내용이라 따라가지 어려울 수도 있으나, 흥미로운 부분만을 읽는 것만으로도 이 책을 통해 유전자라는 것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