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되는 돈 관리법 - 상위 1% 부자들에게 배우는 부의 법칙
폴 설리번 지음, 박여진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6년 2월
평점 :
절판


 과연 미국의 상위 1%의 부자들은 돈을 어떻게 관리하는가하는 의문점으로 집어든 책이었다. 다분히 제목에 이끌려 읽기 시작한 책이라고 하는 것이 맞을지도 모르겠다. 책의 내용은 기대했던 것과는 사믓 달랐다. 내가 기대했던 바는 돈 관리법, 정말 재테크의 비법이었기 때문이다. 어디에 투자를 하고,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구성을 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이야기를 해 주는 책으로 생각하고 읽기 시작했으니 말이다.

 그런데, 이 책의 내용은 재테크 방법론적인 책이 아니라, 마음가짐에 대한 책이었다. 미국의 부자들은 어떤 마인드를 가지고 돈에 대한 생각을 하고, 접근을 하는지 말이다. 또한 부를 이루기 위해서 소비와 지출부터 통제하는 법을 생각한다는 것을 배우게 된다. 또한 그린라인 위로 올라간다는 것의 의미도 확실히 일깨우게 된다. 아마도 우리들이 흔히 예기하는 경제적 자유를 이르는 또 다른 표현이라고 생각해도 될 듯하다. 하지만, 약간은 다른 의미가 함축되어 있는 것 같다.

 “Part 1 부자들이 돈을 생각하는 법에서는 이름 없는 돈에 이름표를 붙이는 이유를 들을 수 있는데 정말 흥미롭다. 그 중에서 마음속 회계장부에서의 돈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부분은 꼭 읽어볼 것을 권하고 싶다.

 “Part 2 부자들이 돈을 버는 법에서는 잘못된 투자결정을 하게 되는 숨은 충동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젊은 부자들이 어떻게 부채의 덫에 걸리는지 이야기해 주고 있다. 이를 통해 아무리 많은 돈을 가진 부자라 하더라도, 절제의 미가 없으면 안 된다는 것을 예끼하고 있다.

“Part 3 부자들이 돈을 쓰는 법에서는 돈을 많이 쓰고도 파산하지 않는 사람들의 이야기와 부유한 사람들이 어떻게 교육에 투자하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여기서, 수전 비첨(Susan Beacham)이라는 여인의 예기를 통해 성공의 대물림과 교육의 상관관계를 예기하는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그 중에서도 돼지저금통 아이디어는 당장 아이들과 함께 해 보아야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정말 교육은 특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기회를 위한 비용으로 생각하라는 메시지도 또한 배울 점이 많은 부분이었다.

 “Part 4 부자들이 돈을 주는 법에서는 자녀들에게 어떻게 돈을 줘야 하는지, 그리고 기부는 또 어떻게 하는 것인지에 대한 생각을 하도록 이끈다. 상당히 감성적으로 읽게 되었던 부분이었다.

 “Part 5 당신은 돈을 어떻게 생각하는가에서는 내가 과연 돈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해 왔는지를 돌아보게 만드는 부분이었다. 어린 시절 돈은 좋은 것이 아니며, 돈에 대한 탐욕은 놀부나 가지는 것이라는 잘못된 생각을 가졌던 나이기에 이 부분은 정말 가슴에 와 닿았다.

 이러하듯 이 책은 부를 축척하는 기술적인 부분을 이야기하고 있지 않다. 하지만, 부라는 것이 무엇이며, 부를 어떻게 관리하고 후대에 넘겨줄 것인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하게 만드는 책이었다. 책 속에 나오는 미국인들의 이야기들이 우리나라와는 다소 동떨어진 부분도 없지 않아 있지만, 그 이야기들의 저변에 깔려 있는 기본적인 생각들은 정말 배울만한 것들이었다.

 이 책을 통해 다시 한번 부에 대한 생각을 할 수 있는 좋은 여행이 된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