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월급을 경영하라
구본기 지음 / 쌤앤파커스 / 2015년 8월
평점 :
대한민국의 대부분이 급여생활자로 살아가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말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현실을 생각한다면, 과연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생각이 들곤 한다. 농담 반, 진담 반으로 “월급이 log-in 되었습니다. (10분도 되지 않아서) log-out 되었습니다”라는 말을 술자리에 하곤 하는 소위 월급쟁이들에게 재테크는 늘 화두였다. 그러하기에 수많은 재테크 관련 책들이 매번 쏟아지고, 이에 따라 새로운 용어들이 생겨나곤 하지 않았던가!
그렇다면, 이 책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월급 경영” 이란 과연 무엇이란 말인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유일한 소득원인 월급을 기업이 경영을 할 때 자본 운영을 하듯이 해 보자는 것이었다.이미 “돈 이야기”라던가 하는 책에서 이러한 개념을 예기한 적이 있기에 무척 새롭다는 생각은 들 지 않는다. 다만, 국내의 상황을 설명하고, 이에 따라 여러 이야기들을해 주는 것은 쉽게 와 닿는다.
이 책의 앞부분에서는 재테크가 왜 실패하는지, 왜우리는 증권사 직원, 보험설계사로부터 금융상품을 가입하면서 우리들이아닌 금융회사나 보험회사의 이익에 기여를 하게 되었는지에 대해서 예기하고 있는데, 이 부분을 읽으면서 사실 속이 답답함을 느끼며 불편한 마음이 들었다.
왜 인지는 여기서 말하지 않겠다. 한 번 책을 읽어보면왜 그런지 이해하리라 생각된다. 정말 많은 부분이 공감이 가면서도가슴이 무거워 지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
책의 후반부에 들어가면서, 나오는 자신이 가지고있는 자본과 부채를 전부 나열하여, 현재의 자신을 돌아보고, 이에 따라 어떻게 월급 경영을 할 것인가에 대한 부분은 정말 꼭 해보아야 할 부분이아닌가 한다. 대부분의 급여소득자들이 카드나 마이너스 통장으로급여를 당겨쓰는 것을 저자는 왜 그럴 수밖에 없는지를 이야기하면서, 이를 탈피하기 위해서는 꼭 지금의 현재 재정상태를 파악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런 다음에야, 금융상품을 어떻게 고르고, 보험은 어떻게 가입하며, 부채는 무엇부터 줄여 나가야 할 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저자의 글들이 눈에 들어 올 것 같다. 이 책의 마지막에 저자가 예기하듯이 이 책은 거창한 비법을 담은 그런 책은 아니다. 단지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우선 부채를 없애고, 현금성 자산을 많이 모을 것을 예기하고 있다.
이제 막 급여생활자가 된 사회초년생들에게는 꼭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은 책이다. 그리고, 이미 월급을받으며 부채를 늘려온 분들은 이 책을 통해서 부채를 어떻게 줄이고, 앞으로 어떻게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단초를 얻을 수 있는 책으로 권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