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학교의 힘 - 아이의 학력, 인성, 재능을 키워주는
박찬영 지음 / 시공사 / 2014년 3월
평점 :
품절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면서, 정말 좋은 학교가 어떤 학교일까하는 고민을 해 보게 된다. 사립학교는 높은 학비를 받는 만큼 학원을 보내지 않을 정도로 학교 내에서 지도를 해 주는 것 같다. 그리고, 공교육을 바탕으로 한 주변의 공립학교는 방과 후 학원을 계속 보내야 한다. 공교육이 무너지고 사교육이 자리잡은 대한민국의 교육환경 속에서 과연 대안은 없는 것일까?

 북유럽이나 선진국의 교육 환경을 보면서 부러워만 할 것이 아니라, 우리 아이들을 위한 진정한 교육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진지하게 고민할 수 있는 기회가 없을까? 이런 저런 고민을 하던 차에 만난 책이 바로 이 책이다. 우리들의 상식을 뛰어 넘는 책이었다. 모두들 큰 학교, 도심의 학교를 보내기 위해서 영어유치원부터 시작해서 많은 사교육에 돈을 쏟아 붇고 있는데 말이다.

 이 책의 저자는 실제로 작은 학교인 충청남도 논산의 도산초등학교에서 교직생활을 시작하여, 작은 학교에서 자라라는 아이들의 무한한 가능성으로 보고, 아이들이 자라나는 모습을 곁에서 지켜본 분이었다. 그래서 그런지 저자가 이 책을 통하여 들려주는 이야기들이 참으로 현실감 있게 와 닿는다. 저자는 들어가기에서 작은 학교의 아이들이 어떻게 대외적인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는지에 대한 이유를 들고 있는데, 이는 바로 아이들의 강한 자존감이었다. 자존감이 강한 아이들이 적극적이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성취도가 높다는 것이다. 정말 새겨들어야 할 말이었다.

 이 책은 총 4장으로 구성으로 되어져 있으며, 1장에서 저자는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환경을 과감하게 전달하게 있다. SNS를 통하여 친구를 만들지만 서로 소통하지 않는 유령친구의 이야기는 우리나라 아이들이 얼마나 왕따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지, 이것이 얼마나 스트레스가 되는지를 여실히 보여 주고 있다. 또한 학교폭력의 폐해는 날로 심해지는 것을 보면, 이 또한 아이들이 어떻게 친구를 사귈 것인가에 대한 두려움이 너무나 클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또 성적위주의 경쟁 체계에서 아이들이 너무나도 힘들어 하게 된다는 사실도 보여 준다. 아이들끼리의 경쟁이 아니라, 아이 자신이 어떻게 성장해 나갈 것인가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저자의 말에 100% 동감하게 된다. 하지만, 부모가 되어서 주위 아이들과의 경쟁에서 뒤쳐지는 것을 보고 있으면 달라지는 것이 현실이니 참으로 아이러니하다. 그래서, 저자도 화성에서 온 교사, 금성에서 온 학부모라는 부분을 통해 이를 넌지시 빗대어 말하고 있다. 사실 1장만 읽고 보면, 아이들에게 학교는 정말 좋은 곳이 아닌 것만 같다. 하지만, 이 책의 목적이 지금 현재의 공교육을 심판대에 올려 놓고 비판하자는 것은 아님을 알기에 현실직시를 위한 1장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면서 2장을 맞이하게 된다.

 드디어 2장에서 저자는 작은 학교의 아이들은 어떻게 자라나고, 왜 학교 오는 것을 좋아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들을 한다. 먼저 아이들이 학교를 배우고 신나게 노는 곳으로 여기면서 하루에 세 번이나 등교를 한다는 부분에서는 저자가 처음 느꼈던 그 어리둥절함을 나도 느꼈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학교를 가기 싫다는 데 하루 세 번이나 학교를 간다니 학교에 무슨 꿀단지라고 있는 것인가 말이다. 이 부분이 궁금하면 이 책을 읽어보시기 바란다.

 작은 학교를 예기함에 있어서 열정적인 교사를 빼 놓을 수 없을 것 같다. 물론 도심의 큰 학교의 교사들이 열정이 없다는 것은 아니다. 작은 학교의 교사들은 작은 학급 인원으로 인해 모든 학생들에 대해서 좀 더 세밀하게 신경을 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아이들의 인성을 중시할 수 있다는 것을 저자는 예기하고 있다. 작은 학교에서 가장 중요해 보이는 것은 저자가 말한 아이 1명을 마을 전체가 키운다가 아닐까 한다. 시골의 작은 학교에서 자라는 아이들은 마을 공동체의 아이들로 모든 어른들이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며, 이를 통해서 인성과 자존감이 강하게 자란다는 것이다. 정말 많은 것을 느낄 수 있는 대목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정말 누구나가 궁금했을 이야기이다. 시골에 살면 문화적인 혜택을 못 받지 않는가하는 것이다. 그런데, 저자는 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시골의 작은 학교일수록 교육부의 지원금이 더 많으며, 이를 통해 아이 1명당 돌아갈 수 있는 혜택도 더 크다는 것이다. 정말 이러한 사실은 이 책을 읽지 않았으면 몰랐을 일이다.

 그리고, 3장에서는 공교육혁명을 일으킨 작은 학교들로 일본의 히가시나루세초등학교’, ‘도산초등학교, 남한산초등학교, 조현초등학교, 대리초등학교, 묘량중앙초등학교, 거산초등학교를 만나게 된다. 각 학교가 어떻게 해서 작지만 좋은 학교가 되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읽으면서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되었다.

 그리고 마지막 장에서는 저자가 작은 학교에서 근무하면서 경험한 것들을 큰 학교에는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정말 부모인 나 자신부터 해 보고 싶은 부분들이 있었다. 그것은 바로 아이들에 대한 교육에 부모인 나 자신도 참여한다는 생각을 하는 것이다. 무조건 학교의 선생님을 통한 교육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가정교육의 중요성을 깨달아 아이들과의 대화를 통해서 자존감을 배양해 주는 것부터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읽고 당장 아이를 시골의 작은 학교로 전학시킬 수는 없지만, 작은 학교가 가지는 장점을 도심의 공립학교들도 도입해서 운영한다면 아이들의 인성개발에서부터 스스로 자좀감을 높여 자신의 꿈을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옆에서 지켜봐 줄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