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문학은 밥이다 - 매일 힘이 되는 진짜 공부
김경집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3년 10월
평점 :
어느 순간 우리 사회는 융합을 예기하면서 인문학적 소양을 중요시하게 되었다. 그런데, 과연 인문학이란 것이 무엇인지도 가끔을 헷갈릴때가 있다.
그런데, 이 책은 제목과 같이 인문학은 밥이다라고 예기하고 있다. 그럼 진정 밥이라는 표현을 쓴 인문학은 어떠한 지 한 번 들어가 볼까하는
호기심을 자극한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이 총 4부로 구성되어져 있다.
1부. 마음의 깊이를 더하는 인문학
2부. 진보하는 인류와 인문학
3부. 감성을 깨우는 인문학
4부. 인문학은 관계 맺기다
먼저 마음의 깊이를 더하는 인문학으로 저자는 철학, 종교, 심리학을 예기하고 있다. 이 중에서 나의 관심을 끈 것은 뭐니뭐니해도 철학이다.
모든 학문이 철학에서 파생되어졌다고 과언이 아니니, 철학이 제일 처음 나온 것이리라는 생각에서 말이다. 이 부분에서 철학의 역사와 더불어
소크라테스가 왜 죽임을 당했는지 등에 대한 예기를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그리고 진보하는 인류와 인문학에서는 '역사, 과학'을 만날 수 있었다. 과학을 인문학의 분야로 끌어와서 예기하는 것이 흥미롭다. 특히나
인터넷은 휴머니즘이라고 예기하는 부분에서 '인터넷에 자유를 허하라'라는 저자의 일갈은 정말 진정성이 돋보인다.
감성을 깨우는 인문학에서 우리는 '문학, 미술, 음악'을 만날 수 있다. 이 중에서 최고의 인문학 교재는 무엇인가라는 저자의 질문은
날까롭기 그지없다. 정말 어떤 인문학 서적을 우리가 읽어야 한단 말인가? 저자는 이 책에서 희극이야말로 최고의 인문학 교과서라고 자신 있게
말한다. 깊이 생각해 볼 부분이었다.
그리고 마지막 '인문학은 관계맺기다'라는 명제에서 만나게 되는 것은 '정치, 경제'이다. 정치, 경제까지도 인문학의 테두리에 넣어서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 놀랍기도 하고, 새롭기도 했다. 저자는 경제을 예기하는 부분에서 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을 비롯하여, 자유방임,
그리고 케인즈와 프리드먼 등을 만날 수 있도록 우리들을 안내한다. 신자유주의를 거쳐 다시 애덤 스미스로 돌아온 경제의 지나온 순간들을 우리들에게
예기해 주고 있다.
이렇듯 이 책은 수많은 분야의 이야기들을 하고 있다. 처음 책을 보았을 때는 책의 두께에 다소 위축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저자가 이끌어 주어서 그렇게 부담없이 읽을 수 있었다. 다양한 분야를 한 권의 책으로 이렇게 압축하여 읽을 수 있어서 좋았으며, 각
분야에서 읽을 책의 목록을 알려주어서 이것도 좋았다.
너무 많은 부분들을 취급하다 보니, 다소 깊이가 없을 수도 있지만, 인문학의 입문서로써는 더 없이 좋은 책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