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카루스 이야기
세스 고딘 지음, 박세연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4년 1월
평점 :
[보랏빛
소가 온다], [린치핀] 등으로 만났던 세스 고딘이 우리들에게
새롭게 선 보인 책이라 참으로 기대하고 보았던 책이다. 이번에는 또 어떤 새로움을 보여줄 것인가에 대해서
말이다.
그런데, 이번에는 신화 속 인물인 이카루스를 화두로 삼아서 우리들로 하여금 무언가를 생각하게 만드는 그런 책이었다. 이카루스를 예기하는 신화가 우리들에게 주는 것이 무엇인지, 산업경제를
지탱하기 위해서 우리들에게 이런 신화가 필요했음을 예기하는데 정말 뒤통수를 한 대 맞은 기분이었다. 우리들이
기존에 옳다고 믿어 왔던 것들이 단지 산업경제를 지탱하기 위한 수단이었으며, 우리는 이러한 신화나 선전에
속아서 지내왔다는 것이다. 그러하니, 이런 이야기들이 주는
안전지대에서 벗어나 아티스트의 세계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 저자 세스 고딘이 이 책을 통해 줄기차게 예기하는 것이었다.
세스
고딘은 산업경제 뒤에 온 지금의 시대를 연결 경제라 규정하고, 이러한 연결 경제에서는 안전지대가 결코
안전지대가 아니기에 스스로의 한계에 갇혀 있지 말고, 날아오르라고 예기하고 있다. 이카루스 이야기를 통해서 너무 낮게 나는 것의 위험성을 예기하며, 순종과
순응이 더 이상 필요덕목이 아님을 예기하고 있다.
그러면서
세스 고딘은 우리들로 하여금 아티스트의 삶으로 나아갈 것을 거듭 권하고 있다. 이카루스에 속지 말 것과
더불어, 우리가 안전지대를 벗어나면서 만나게 되는 두려움을 결코 내치지 말고, 아티스트로 가는 데 있어서 동행으로 삼으라는 지혜를 들려 준다.
그리고, 아티스트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덕목으로 용기와 통찰력, 창조성과
결단력을 예기하고 있다. 이러한 덕목을 기르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다양한 에피소드로 이야기해
주고 있으며, 이제 더 이상 과거의 경제 체제에서의 안락함이 도움이 되지 않는 세상이 될 것이기에 이를
박차고 나아가야 하며, 이를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 아티스트의 정신임을 강조하고 있다.
새로운
시각으로 세상을 보는 그의 식견이 다시 한 번 돋보이는 책이었으며, 기존의 질서에 머물러 있음으로써
안전을 보장받으려는 안일한 생각을 하는 이들에게 정말 경종을 울리는 책이 아닌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