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나모리 가즈오 1,155일간의 투쟁 - 재생불능 진단을 받고 추락하던 JAL은 어떻게 V자 회복을 했나
오니시 야스유키 지음, 송소영 옮김 / 한빛비즈 / 2013년 11월
평점 :
전 세계적으로 금융위기에 겪으면서 우리는 많은 기업들이 흥망성쇠를 겪는 것을 보았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에도 기업의 쓰러짐을 보면서 왜 우리나라에는 이런 기업을 구조조정의 힘으로 다시 일으켜 세우는 이가 없는가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특히나 이 책을 읽고 나서는 더욱더 그렇다. 정말 80세라는 많은 연세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잘 알지도 못하는 사업인 항공산업의 JAL을 회생시키기 위해서 봉사한다는 것이 쉬운가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이 책은 이나모리 가지오 회장이 JAL을 재건하면서 겪은 여러 가지 이야기들을 엮어서 우리들에게 진정한 기업인이 어떤 소명을 가져야 하는지, 그리고 회생불능의 기업도 아베마 경영이라는 것을 통해서 어떻게 살아났는지를 생생히 전달해 주고 있다.
이 책에서 가장 감동적인 부분은 이나모리 가즈오 회장이 주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싫어하던 JAL 을 맡으면서 자문했던 물음들이었다. 독점은 악이다라는 생각으로 JAL의 갱생에 뛰어들어 관료주의가 만연한 조직을 바꾸기까지의 정말 많은 에피소드들이 이 책 속에는 있다. 각각의 에피소드들을 통해서 배울 수 있는 것들이 참으로 많았다.
최근 끝난 철도파업이 한참일 때 이 책을 읽고 있었던 나에게는 정말 뒤통수를 때리는 듯한 느낌을 주는 부분들이 많았다. 8개가 되는 독립적 노조가 있었던 JAL을 구조조정하면서 5만 1,000 명의 사원을 3만 2,000명으로 줄이고, 이 남은 사원들에게 행복을 심어주겠다는 각오로 JAL의 재건에 나선 대의에는 절로 고개가 숙여졌다.
이 책을 통해 기업가란 무엇이고, 왜 회사를 경영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깊이 하게 되었으며, 위기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계기를 가지게 되었다.
이나모리 가즈오 회장의 책은 많이 읽었는데, 그의 아메바 경영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는 책을 읽을 기회가 없었는데, 이 책을 통해 꼭 찾아서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날 대한민국이 안고 있는 노사의 문제, 그리고 공공기관의 문제 등에 대한 실마리를 이나모리 가즈오 회장의 경영이념에서 찾을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하면서 이 책을 덮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