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왕과 나 - 왕을 만든 사람들 그들을 읽는 열한 가지 코드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3년 7월
평점 :
최근 청소년들의 역사에 대한 인식의 문제에 대한 사설을 읽은 적이 있다. 3.1절과 야스쿠니 신사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알지 못하는 청소년들의 역사인식의 문제가 누구 때문에 생긴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기 이전에, 우리들에게 역사를 좀 더 재미있게 생생하게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한국사를 학창시절 왕을 중심으로 배웠던 나도 돌이켜보면, 그저 역사를 암기과목으로만 생각하고 배우지 않았는가 반성을 해 본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왕을 중심으로 한 역사가 아닌, 왕을 만든 사람들을 재조명함으로써 역사의 숨은 이야기들을 예기해 주고 있다.
정말 조선의 개국에 대한 밑그림은 그린 정도전과 더불어 실제로 한양도성을 쌓은 박자청이라는 인물에 대한 예기는 너무나 재미있고, 몰랐던 것을 알아가는 시간이었다. 또한 삼국을 통일한 김유신에 대해서만 배웠던 사실에서 나아가, 그가 왜 김춘추를 택해야 했는지에 대한 예기를 하는 비주류, 주류 사회를 움직이다라는 첫 장이 던져주는 배움은 정말 큰 것이었다. 신라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던 두 인물이 만나서 신라를 벗어나 더 큰 그림을 그렸고, 그것이 삼국통일의 대업을 완수하는 과정으로 드러난 것이니 말이다.
이러하듯, 이 책 속에는 우리들이 이미 역사 속에서 알던 인물에 대해서는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다. 인수대비의 예기를 하는 ‘목적 잃은 권력을 탐하다’ 를 읽다 보면, 권력을 향한 권리욕이 얼마나 허망한 것인지를 깨우치게 된다.
이 책은 역사를 통해서 우리들이 배워야 할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화두를 던지고, 이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또한 이야기 하나 하나를 재미있게 엮어서 한국사를 지겹지 않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