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의 신 - 비용절감 vs 가격인상
하야시 아츠무 지음, 오시연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미 회계학 콘서트 시리즈로 저자인 하야시 야츠무를 알게 되었고, 그의 책을 통해서 회계에 대해서 쉽게 이해하고 공부하게 되었기에 이 책을 손에 잡는데 거리낌이 없었다.

 사실 회계라고 하면 너무나 딱딱한 과목이며, 숫자를 열심히 들여다 보는 그런 것으로 생각했는데, 이 책의 저자는 언제나 그렇듯이 현장에 답이 있다라는 말로 독자들에게 회계의 원리를 알려주고 있다. 그것도 딱딱한 손익계산서 등의 재무재표를 통해서가 아니라 스토리를 가지고 이야기를 엮어서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 주고 있다.

 이번의 회계의 신에서는 그 부제 비용절감 VS 가격인상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두 가지 방법 중에 어떤 것이 기업의 적자를 줄이는 방법인 지에 대해서 가르쳐 주고 있다.

계속 적자인 페밀리 레스토랑 로미즈의 센노하타점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클러그쉽의 수강자인 히카리가 자신이 책에서 배운 것을 현장에 접목하는 것을 이야기의 형태로 해서, 우리들에게 적자를 흑자로 만들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를 알려 준다.

 이 책의 이노키는 관리회계의 이론만을 들어서 비용과 매출, 비용과 한계이익의 그래프를 통해서 비용을 줄이기 위해 아르바이트생들의 임금을 삭감하고, 한계이익을 높이는 방법으로 이익이 많은 제품을 고객들에게 권하는 것으로 액션플랜을 짜서 실행을 하도록 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왜 그럴까? 늘 그러하듯이 아즈미교수는 고객에게 답이 있다라는 아리송한 답변으로 히카리가 이 난국을 헤쳐나가는데 조언을 한다. 정말 고객들이 왜 레스토랑을 찾고, 왜 그 가격에 선뜻 지불을 하는지 생각해 보라는 것이었다. 또한 재고를 줄이고 회전율을 높이는 것이 이윤을 높이는 데 기여를 한다는 것도 알려준다. 또한 피자 화덕의 사용시간을 늘리는 것이 어떻게 이윤에 기여를 하게 되는지도 설명해 준다. 기업의 설비가동률에 낭비요소를 없애는 것이 기업의 이윤을 추구하는 방법임을 알게 해 준다.

 회계를 쉽게 배울 수 있는 책 중의 하나라, 이론이 아니라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회계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는 시간이었다. 단지 관리회계로 작성된 재무재표만을 가지고, 기업을 평가할 것이 아니라 현장을 들여다보면, 우리가 숫자에 얽매여 보지 못했던 것들을 볼 수 있다는 지혜도 다시 한 번 배울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