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리계좌 - 돈에 관한 다섯 가지 착각
이지영 지음 / 살림Biz / 2012년 12월
평점 :
우리들이 돈을 쓰면서 어떻게 느끼는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흔히 공돈이라고 생각되는 보너스 등은 너무나도 쉽게 연말 여행이나 일년 내내 봐 두었던 가방이나 옷을 사는데 쓰고, 주식에서 이득을 보다가 떨어져서 본전으로 돌아오면 손실이 난 것처럼 느끼는 이러한 것들에 대해서 명쾌하게 설명해 주는 말이 없었는데, 이번에 보게 된 책 [심리계좌]는 이러한 우리들의 돈에 대한 생각을 심리계좌라는 표현으로 명쾌하게 해 주고 있었다.
이 책은 우선 우리들이 돈에 대해서 하고 있는 착각에 대해서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그 다섯 가지 착각에는 ‘소득 착각, 저축 착각, 소비 착각, 자산 착각, 부채 착각’이 있었다. 정말 우리들이 돈을 벌면서 가지게 되는 소득 착각이라는 것에 대해서 눈을 뜰 수 있었다. 보이지 않는 소득에도 이름표를 붙여서 생각해야지만 나중에 실직을 한다던가 할 때에 대응을 할 수 있다는 것에서 공감 100%의 끄덕임을 하게 되었다. 저축착각에서는 정말 빚이 있는데도 저축하는 것이 옳은 것인지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되었으며, 소비 착각에서는 신용카드와 세일의 맹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자산 착각에 이르러서는 부동산을 마음 속 자산 뿐이라는 것을 빨리 파악해야 함을 알게 되었으며, 보험에 대한 생각도 다시 해 보게 되었다. 특히나 이 책에서 가장 공감을 가지게 된 것이 부채 착각 부분이었는데, 부동산 대출 2억은 그냥 2억이 아니라, 거치기간 동안에 갚아야 하는 이자와 그 이후에 갚아야 하는 원리금까지 같이 생각해서 그것을 부채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에서 무릎을 치게 되었다.
이렇게 1부에서 우리들이 흔히 하는 돈데 대한 착각을 설명한 다음, 저자는 2부에 돈 걱정 없이 사는 법에 대한 예기를 하고 있다. “벌기, 쓰기, 모으기, 불리기, 심테크” 의 다섯 가지를 예기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 쓰기에 이르러 절약한다는 것과 가계부를 쓴다는 것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되었으며, 새로운 가계부 작성법을 예기하고 있는데, 정말 도움이 되었다.
책을 읽으면서 긍정을 하게 되는 부분도 있었으며, 다소 한 쪽으로 치우친 감이 없지 않은 부분에서는 고개를 살짝 기울이게 되는 부분도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심리계좌라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