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홀에서 살아남는 법 - 우주의 모든 비밀에 답하는 물리학의 핵심 개념 35가지 사이언스 씽킹 2
폴 파슨스 지음, 이충호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12년 12월
평점 :
절판


성인이 된 나에게 과학에 대해서 흥미를 느낀 것은 아마도 아주 어릴 때 과학잡지인 Newton 을 보면서였던 것 같다. 그때는 정말 그 책에서 읽는 모든 것이 신기했다. 초전도체, 쌍전자, 빅뱅, 블랙홀 등의 모든 이야기들이 생소하기도 했지만 너무나 재미있었던 기억이 난다. 그런데, 왜 지금은 과학적인 진보가 그 어느 때보다 빨리 일어나는 시기에 사는 우리들이 과학에 대한 호기심이 식어 버렸는지 모르겠다. 그런데, 어느 날 아침 아이와 함께 식사를 하다가 블랙홀 예기가 나와서 이런 저런 예기를 나누다 보니, 아이들이 순수한 마음으로 가지는 호기심이 나에게도 전이되는 느낌이었다. 이러한 호기심으로 과학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들을 해 주는 책이 없을까하면서 보게 된 책이 바로 이 책 [블랙홀에서 살아 남는 법]이었다.

 우선 책의 제목이 상당히 매력적이다. 우리들이 상식적으로 알기에는 블랙홀은 모든 것을 빨아 들여서 소멸시킨다고 하는데, 어떻게 살아남지? 하는 호기심을 일으키니 말이다. 하지만, 이 책은 이렇게 우주에 대해서만 예기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들이 흔히 과학적으로 접근하지 못했거나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것들에 대해서 재미있게 예기하고 있었다.

 제일 처음으로 나오는 환상적인 롤러코스터 타는 법에서는 어떻게 롤러코스터가 설계되는지를 설명하는 부분에서는 과학이 이런 곳에도 사용되는구나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 시작점을 제시하고 있었으며, ‘투명망토를 만드는 법에서는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스탤스 기술이 어떻게 해서 구현이 되는지, 그리고 또한 헤리포터에나 나올 법한 투명 망토도 시현될 수 있음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빛보다 빨리 달리는 법에서는 아이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서 말한 빛보다 빨리 갈 수 없다는 가설을 깨는 것이 가능하다는 생각을 하도록 만들어 주었다.

 이 책은 정말 과학을 따분하지 않게 접근하도록 이끌며, 우주를 포함하여 우리 주변에 일어나는 모든 일에 대해서 과학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마음을 가지도록 해 준다. 책의 내용이 그렇게 어렵지 않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읽어주면서 이런 저런 과학적인 상상력을 더하기에도 좋은 책이었다. 아이들과 좋은 시간을 가지기에도 더 없이 좋은 책으로 추천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