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악당이 되기로 했다 - 결핍과 승부욕이 완성하는 악당의 철학
김헌식 지음 / 한권의책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나 소설 등을 보다 보면, 보통 사람들이 모두다 희망을 잃고 절망을 하는 순간에 혜성처럼 등장하는 것이 영웅의 모습으로 그려지는가 하면, 최근의 영웅의 모습은 그 어느 때보다 인간적인 고뇌를 하는 인간과 별로 다르지 않음을 강조하고 있는데, 우리들은 왜 이러한 영웅들의 모습과 이야기에 심취하고 열광하는지 모른 채 영화를 마냥 즐기기만 하지 않았나 쉽다.

 그런데, 세상을 움직인 것은 영웅이 아니라 악당이라고 예기하는 이 책을 보고는 왜 우리들이 영웅에 심취하면서, 그 영웅들이 영화 속에 나오는 악당들을 물리칠 때, 그렇게 기뻐하는 지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이 책은 영웅은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려는 다소 보수주의적인 인물로, 악당은 기존의 질서를 파괴하고 혁신하는 존재로 예기하면서, 우리들에게 스티븐 잡스를 대표적으로 들어서 예기하고 있다. 이 책에서 예기하고 있는 악당철학이라는 것이 악인이나 깡패와 같은 폭력적인 것을 예기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들의 매몰된 기존 질서나 사물에 대해서 달리 생각해 보고, 이것을 파괴하고 혁신함으로써 우리들에게 미래를 보여주는 존재로 악당을 그리고 있는데 정말 흥미로운 부분이었다. 최근의 모 방송사에서 하는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보여지는 악동 클럽이라는 남매를 보면 정말 기존의 음악적인 정서, 발상과는 너무나도 달라서 그 신선함에 반하게 되는 것과도 같이, 이 책에서 말하는 악당들은 그 신선함으로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은 이들로, 역사 속에서 우리들이 만날 수 있는 인물들로 군주론의 저자 마키아벨리, 세계 최대의 제국을 이룬 징기츠칸 등의 인물에 대해서 예기하고 있는데, 정말 새롭게 그 인물들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고 있다.

 책이 다소 철학적 인물들인 니체, 팡세, 아리스토텔레스, 루소 등의 인물들의 저서들을 인용할 때는 사실 좀 지루하기도 하고 너무 현학적인 것은 아닌가하는 생각을 하게끔 만들다가도, 베트맨, 스파이더맨, 어벤저스 등의 영화를 예기할 때는 또 정말 신나게 몰입할 수 있도록 이끌고 있으며, 우리나라 드라마와 영화인 추적자, 도둑들 등에서 악당의 모습을 예기할 때는 정말 소름이 끼칠 정도로 악당철학에 매료되기도 했다.

 이 책은 다양한 장르의 서적과 영화, 드라마 등의 문화에서 보여지는 악당 코드를 정말 잘 설명해 주는 책으로, 시대를 앞서서 미래를 보는 악당이 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책으로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