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슨 - 5분 경청의 힘
버나드 페라리 지음, 장세현 옮김 / 걷는나무 / 2012년 11월
평점 :
절판


세상에 워낙 많은 정보들이 쏟아져 나오고 원래 자신의 하던 일에서 더욱더 확장을 하고자 하는 것이 주류가 되다 보니, 무엇보다도 자기PR의 시대가 되어 버린 듯하다. 그래서 그런지 아무런 말을 하고 있지 않으면 안 되는 세상이 되어 버렸다는 인식이 대중을 지배하고 있기에, SNS 및 개인 blog 라는 곳에서라도 소리를 내어야만 하는 세상이 되어 버렸다. , 오프라인 할 것 없이 대화를 함에 있어서 듣기보다는 말하기에 더욱더 치중한 사회가 되어 버린 듯하다.

 이러한 때, 듣는 것의 힘, 경청에 대해서 예기하는 이 책 “Listen!” – 책 제목이 너무나 간결하지 않은가! – 은 오늘날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듣는 것, 올바로 듣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며, 그러하기 위해서는 어떤 청자가 되어야 하는 지에 대해서 먼저 예기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세상의 나쁜 청자를 여섯 명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고집쟁이형, 심술쟁이형, 긴 서론형, 돌림노래형, 정답맨형, 가식형 정말 자기 자신이 어떤 청자인지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지는 것도 의미가 있는 듯 하다. 이렇게 나쁜 청자가 아니라 좋은 청자가 되기 위해서는 상대방을 존중하고, 침묵을 지키고, 기존의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고, 지속적으로 집중하라라고 이 책은 예기하고 있다. 정말 좋은 지혜가 아닌가 싶다.

 이러한 예기를 함에 있어서 저자는 자신이 컨설팅을 하면서 경험한 여러 사례들을 예기하면서 독자들을 이끌고 있는데, 지루할 수도 있는 예기를 지루하지 않도록 하는 맛도 있는 것 같다. 물론 우리나라의 사례들이 아니라서 조금 아쉬운 점도 없지 않아 있지만 말이다.

 이렇게 좋은 청자가 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예기한 다음엔 생각을 정리하라라는 예기를 하면서 우리들이 들을 때 어떻게 생각을 정리해서 듣는 것에 집중할 것인지에 대해서 예기하면서, “비전, 계획, 실행, 팀워크, 개성의 분류에 의해서 생각을 정리할 것을 권하고 있다.

 대화를 하면서 집중하고 생각을 정리한다는 것이 쉽지 않음을 저자도 이미 책에서 언급하고 있는데, 실제로 회의를 하면서 저자가 말한 바대로 생각을 정리해 보는 연습을 해 보았는데 확실히 경청을 할 수 있었다.

 이렇게 듣고, 정리하는 것을 예기한 후, 이 책은 마음을 움직이는 것에 대해서 예기하고 있는데, 이 부분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통찰은 준비된 사람만이 얻는다라는 부분이었다. 정말 우리들이 다른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고, 통찰을 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 지에 대한 지혜를 알려 주는 부분이었다.

 이 책을 통해서 평소 내 자신이 경청을 잘 하는 지에 대한 정리와 더불어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이 책의 전체를 통틀어 다음의 지혜를 얻었으며, 회사생활을 하면서 듣는 것에 익숙해 져야 하는 경영진이나 고위 간부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회의 시간의 80%는 듣는 데 사용하고, 20%만을 말하는 데에 사용하라.”

그 말하는 데에는 killer question 을 사용하는 데 집중해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