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빚지기 전에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 열심히 사는데 왜 빚은 늘어만 가는가?
백정선.김의수 지음 / 미디어윌 / 2012년 10월
평점 :
절판
지난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회복되는가 싶었던 세계 경제가 유럽발 재정위기의 암초를 만난 것도 그 원인이 과다한 정부 부채에 있는 것임을 보면, 정말 지금의 우리들에게 빚은 또 하나의 화두가 되지 않았나 싶다. 이러한 세계 경제 환경 속에서 연일 거론되는 것이 우리나라 대한민국의 ‘가계부채 1000조 시대’, 과연 이 많은 빚들은 어디서 왔고, 누가 이렇게 빚을 지고 사는 것인지?
이러한 의문에 대해서 속 시원히 대답해줄 공무원이나 경제연구원이 없기에 아마도 이 책이 출간되어져 나온 듯 하다. 경제연구원들의 자료들을 보면, 그냥 추상적으로 지난해 대비 어느 분야의 가계부채가 얼마나 늘었고, 지역별로는 어떻고 하는 통계적인 예기만을 하지, 이러한 빚이 왜 이렇게 많이 생겼는지에 대해서는 예기하는 바가 없지 않은가?
그런데 이 책의 저자는 우리들이 왜 이렇게 빚을 지게 되었는지를 사회구조학적으로 접근함으로써 독자들의 공감대를 얻어내고 있는데, 정말 속이 시원해 지는 듯했다. 정말 열심히 일하지만 어떻게 더 이상 할 수 없는 경우를 예로 들면서, 정말 지금의 문제가 무엇이며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 생각하도록 해 주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대학을 졸업하자말자 학자금 대출로 인해서 빚을 지게 되는 오늘날 이 땅의 청춘남녀들의 예기를 하는 부분에서는 왜 삼포세대가 나왔는지를 가슴 절실히 느낄 수 있었다. 그렇게도 열심히 살아온 이 땅의 젊은이들이 우리가 잘못 만든 사회적인 구조로 인해 사회에 나오자 말자 빚쟁이가 되어야 하는 시대가 되었으니 말이다.
그러면서 저자는 또 우리들에게 할부에 대한 생각을 바꿀 것과 인터넷으로 손쉽게 물건을 살 수 있는 시대에 살면서 손쉽게 소비과잉의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을 빚을 지는 또 하나의 원인으로 꼽고 있는데, 정말 어느 정도 수긍이 가는 부분이었다. 이렇게 빚을 질 수 밖에 없는 환경 속에서 빚을 갚는 것보다 빚지지 않는 것이 먼저다라고 말하는 저자는 빚으로 욕망을 채우려 하지 말고, 할부차 대신 중고차를 타고 다닐 것을 권하고 있다. 또한 남들이 하니까, 이 정도는 내 위치에서 라면서 쓰는 보편적인 소비를 하지 말 것을 강력히 말하고 있다.
빚지지 않고 내집마련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예기하는 부분에서는 오늘날 대한민국의 부동산 시장을 한 번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는데, 이 책의 다른 부분은 안 읽어도 이 부분만을 꼭 읽어보라고 말하고 싶다.
또한 보험관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를 예기하는 부분에서 왜 우리들이 보험을 드는 유혹에 빠지는지, 이러한 유혹을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에 대해서 예기해 주고 있는데, 꼭 알아두면 좋을 부분이었다.
빚 권하는 사회에서 살아가는 우리들이 어떻게 하면 빚을 지지 않고 살아갈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지혜를 배울 수 있어서 무척이나 좋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