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리메 그린다 - 그림 같은 삶, 그림자 같은 그림
전경일 지음 / 다빈치북스 / 2012년 9월
평점 :
우리들이 서양화가들에 대해서는 그들의 삶을 들여다보고, 그림에 왜 그런 기법이나 색감들이 사용되었는지 살펴보고, 그 시대에 풍미한 사조가 어떻고, 시대적으로 암울한 시기였기에 이런 그림들이 유행했으며, 초상화를 보고는 작가의 슬픔이나 사랑 등을 그려보기도 하면서, 그 그림에 얽힌 이야기를 아는 것이 대처 무척이나 식견을 가진 사람인 것처럼 행세할 수 있는 경우가 더러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우리나라 대한민국에 태어나서 자라면서도 역사적으로 유명한 우리 선조들의 그림에 대해서는 그냥 교과서에 나오는 정도의 그림이나, 국사 시험 문제를 위해서 외우는 정도가 다이니 정말 스스로 부끄러워질 따름이다.
그런데 이 책 [그리메 그린다]라는 책을 통해서 만나게 된 조선시대 화가들의 그림과 더불어 그들의 삶의 발자취를 따라가보는 여정이 이렇게나 재미있고, 좋은 것인지를 알게 되었다.
정말 익히 들어서 알고 있는 ‘안견’이라는 화가의 그림에서부터 시작하는 예기에서 우리나라에 없는 몽유도원도의 아름다운 도원경을 통해서 화가가 말하고자 했던 것이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고, 그가 살던 시대에는 어떤 일들이 같이 있었는지를 알게 됨으로써 그림에 대한 이해를 좀 더 잘 하게 되었다. 이렇게 많은 화가들을 다루고 있지만, 사실 개개인에 따라서 읽으면서 좋아하게 되거나 마음에 남는 화가가 읽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나의 경우는 서자로 태어나 그림의 세계를 달리 걸어야 했던 ‘이징’과 추사 김정희 선생이 그렇게도 아꼈다는 ‘허련’의 그림과 예기들을 읽으면서 가슴이 찡해짐을 느낄 수 있었다.
이징의 경우, 서자로 태어나 담벼락에 그림을 그리게 되는 모욕까지 참아내며 그림을 그려야 했던 그의 삶과 더불어 그가 남긴 작품 속에서 느껴지는 아련함이 고스란히 전해져서 가슴이 아팠다. 그리고 허련의 경우는 추사 김정희 선생을 뛰어넘고자 했으나 뛰어넘을 수 없어 자신만의 그림 세계로 나아가고자 했던 그 모습과 더불어, 김정희 선생님이 제주도 유배 당시에도 끝까지 연락을 끊지 않고 추사 김정희의 그림을 오늘날 후대들이 볼 수 있도록 해 주었다는 것에서 감사함을 느끼게 되었다.
이러하듯 이 책은 조선 시대 화가들의 그림과 그들의 삶, 그리고 정치적인 배경, 숙명 등을 통해서 단순한 화가들이 그린 그림 이야기가 아닌 인생 이야기이자, 그림을 통한 인문학을 공부하는 듯한 느낌이 드는 책이었다.
가을이 저물어가는 계절에 보름달과 함께 이 책에 실린 우리 선조들의 그림을 같이 즐겨보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더할 나위 없이 여유로운 시간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