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日1食 - 내 몸을 살리는 52일 공복 프로젝트 ㅣ 1日1食 시리즈
나구모 요시노리 지음, 양영철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2년 9월
평점 :
현대인들은 너무도 많은 먹거리에 고민하곤 하지만, 정작 몸에 좋은 것인지에 대한 것은 생각해 볼 겨를도 없이 마구마구 쏟아지는 신개념의 Hot한 음식들에 손이 가며, 늦게 까지 잠들기 어려운 환경 속에서 다양한 야식들과 더불어 나날이 늘어나는 체중과 허리 사이즈로 인해서 또한 피트니스 센터는 호황을 구가하고 있는 건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우리들이 매일 먹는 음식에 대한 역사를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왜 우리들은 아침, 점심, 저녁 세 끼를 챙겨 먹어야 하고, 이러한 와중에 야식은 또 먹어야 하는 것인지 말이다. 정말 우리들은 너무나 많이 먹어서 탈은 아닌지 말이다.
이러한 질문에 대해서 이 책의 저자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해서 우리 인간은 하루에 한 끼만 먹어도 되는 존재였는데, 인류 문명이 발달하면서 세 끼를 먹는 문화가 생겼으며, 이러한 세 끼를 먹는 문화가 결코 인간 본연의 생물학적인 부분에 있어서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정말 흥미롭지 않을 수 없었다. 하루에 한 끼 만을 먹고도 하루의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는 것 뿐만 아니라, 그러면서도 살을 빼기 위해서나 허리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서 따로 피트니스 센터 같은 곳을 찾지 않아도 된다는 말이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에 주말 만이라도 단식을 하여서 공복으로 만들어서 몸의 균형을 유지하고, 장기들이 새롭게 음식을 받아들일 수 있는 건강한 몸을 만들자는 취지의 책은 읽어 보았지만, 이렇게 극단적으로 하루에 한 끼만을 먹는 것이 건강한 몸을 유지하는 비결이라고 하는 책은 처음 접하기에 정말 놀라울 따름이었다.
이 책의 저자는 우리 몸이 공복감을 느껴서 꼬르록 하는 소리를 내는 것은 우리 몸에 있는 장수 유전자가 발동하고 있다는 증거이기에, 이를 즐길 수 있는 마인드를 가질 것을 강권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1일 1식을 하면서 느끼게 되는 가벼움, 그리고 장수 유전자의 발동이 건강하게 오래 사는 삶을 이끌게 된다고 예기하고 있는데, 정말 책을 읽다 보면, 나도 하루에 한 끼를 먹고 생활해 볼까하는 생각을 살포시 해 보게 된다.
이 책의 주제인 1일 1식을 처음부터 따라 한다는 것은 어려울 것이기에, 너무 많이 먹어서 장수 유전자가 발동하지 못하게 하는 정도는 먹지 말고, 자신의 평소 식사량의 60% 정도를 먹는 것부터 시작해서, 배를 많이 비우는 연습을 한다면 발란스를 유지하면서 건강하게 지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정말 과유불급이라고, 너무나 많은 음식으로 인해 망가진 몸을 이 책을 통해서 다시 건강하게 균형 잡힌 몸으로 바꾸는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계기를 가지면 어떨까 하면서 권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