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예금풍차를 돌려라 - 매달 꼬박꼬박 복리 효과를 누리는
윤승희 지음 / 21세기북스 / 2012년 7월
평점 :
저금리 시대를 맞이하여, 한 푼이라도 이자를 더 받을 것이라고 발품, 손품을 팔아서 정기예금을 들거나, 펀드, ELS, ETF 투자 등을 찾아서 들어 보지만, 투자 수익은 들쑥날쑥하고 연말에 일년 농사를 정리해 보면, 수익률은 늘 시원치 않은 것이 투자를 하면서 겪게 되는 고민이다. 또한 최근의 저축은행 사태를 보면, 이자를 좀 더 받기 위해 선택한 저축은행이 개인들에게 얼마나 고통을 안겨다 주는 지를 보게 되니, 더욱더 고금리 상품을 찾는 것은 힘들어 진 상태이다.
그런데, 이러한 저금리 시대에 예금을 들라고 하는 책이라니? 대부분의 재테크 서적들이 저금리 시대를 맞이하여, 주식, 펀드, ETF, ELS 등에 투자하는 것이 시대적인 대세라고 하면서 다양한 금융상품을 소개하고, 투자를 권하는데 반해, 이 책은 그냥 예금이라니, 그것도 이율이 정말 물가상승률도 되지 않는 정기예금이라니, 다소 너무 시대에 동떨어진 것은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정기예금을 통해서 복리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저자의 글에서 이 책이 일반적인 정기예금을 예기하는 것은 아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책은 무척이나 쉽게 재미있게 읽을 수 있게, 은행원으로 근무하는 이대리의 은행계좌가 0 인 것에서부터 출발하며, 이러한 은행계좌를 예금풍차라는 방법을 통해서 계좌를 불려나가는 것에 대한 예기를 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예금풍차돌리기의 1단계는 가계부를 쓰는 것이었다. 가계부를 쓰는 것도 30-30 이라는 원칙에 따라서 한 달에 30분 정도 시간을 내어서 예산을 수립하고, 그 예산 안에서 지출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매일 매일 가계부를 쓰면서 절약하는 정신을 가지는 것에서부터 이대리의 예금풍차돌리기는 시작되었다. 정말 절약하지 않고 저축과 투자를 이야기 할 수 없다는 것을 이 책은 확실히 보여 주고 있었다. 이렇게 가계부를 쓰면서 아낄 수 있는 부분이 있는 지를 확인 한 다음에 매월 급여를 받자 말자, 정기예금을 하나씩 들어서 일년에 12개의 정기예금을 드는 것으로 예금풍차의 첫해는 가고, 그 다음해에는 만기가 돌아오는 예금의 이자까지 더해서 다시 예금을 드는 것이 예금풍차의 원리였다. 이렇게 예금을 들면서 경제서적 100권을 읽어서 예금풍차 3단계를 준비하는 것이 또 이 책에서 가르쳐 주는 바였다.
예금풍차 3단계를 가지 전에, 이제 막 사회생활을 하여서 정기예금을 든다는 것이 부담스러운 경우에는 적금풍차라 하여, 매월 10만원씩의 적금을 드는 방법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사회초년생에게 무척이나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예금풍차 3단계는 W 기회를 잡는 것이라는 데, 투자의 시장에서 찾아오는 커다란 장세의 흐름을 타는 시기에 투자를 통해서 부를 늘려가야 한다는 것을 예기하고 있으며, 그러하기에 매일매일 경제신문을 읽고 그 숨은 뜻을 파악하고, 경제서적을 읽으면서 쌓은 지식을 활용해야 함을 예기하고 있었다.
이 책은 [10년 통장]이라는 책과 같이 읽는다면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며, 사회에 처음 나와서 종자돈 마련을 어떻게 해야 할까하고 고민하는 분들이나, 주식투자 등을 하면서 수익률을 좋지 않은 분들에게 안전한 저축의 방법을 일깨우는 데에 정말 좋을 책으로 추천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