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플라이어 - 전 세계 글로벌 리더 150명을 20년간 탐구한 연구 보고서 멀티플라이어
리즈 와이즈먼 외 지음, 최정인 옮김, 고영건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1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들의 사회가 점점 더 복잡해 지고, 조직의 종류도 많아지면서, 조직을 이끄는 리더들의 모습들도 그 시대를 따라서 변화해 왔는데, 카리스마적인 리더, 부드러운 리더(감성리더십), 서번트 리더까지, 참으로 다양한 리더에 대한 책들이 출간되었으며, 그 시대를 대변하기도 했었다.

 그런데, 이 책 [멀티플라이어]는 정말 생소한 단어로, 멀티플레이어가 잘못 쓰여진 것은 아닌가하는 착각이 들 정도였는데, 멀티플라이어의 뜻이 상대의 능력을 최대로 끌어올려 팀과 조직의 생산성을 높이는 리더를 뜻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고는 또 한번 고개를 갸웃거리게 되었다.

 멀티플라이어의 특징으로 다음의 다섯 가지를 예기하고 있는데, 정말 하나하나가 이전에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이 많았다. 동양적인 사고를 가진 대한민국의 조직 문화에는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하는 생각이 드는 부분도 없지 않아 있었다.

 첫째, 인재를 끌어당기고 최대한 활용한다.

멀티플라이어는 재능자석이 되어서 인재를 끌어당겨, 그 인재의 숨겨진 잠재능력을 끄집어 내어서 성장하도록 만들어 준다고 하는데, 정말 쉽지 않은 부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부분의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조직원들을 관찰하고, 그들의 숨겨진 능력을 파악해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이 책 후반부의 글에서, 스스로 재능자석이 되기 위해서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할 지에 대한 지혜를 얻을 수 있었다.

 

 둘째, 최고의 생각을 요구하는 열성적인 분위기를 만든다.

멀티플라이어는 해방자가 되어 일을 의욕적으로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준다는 것이, 이 부분의 핵심이었으며, 이를 위해서 리더는 무엇을 해야 할 지를 생각해 보도록 해 주었다.

 

 셋째, 도전의 영역을 넓힌다.

멀티플라이어는 도전자로써 팀원들의 도전을 장려하며, 팀원들을 믿고 맡기는 부분이 크며, 이와 반대되는 디미니셔는 자신이 모든 업무를 맡아서 지시하고 관리해야 한다는 전지전능자가 되어서 조직의 성장을 막고, 자신의 업무가 과중하게 됨을 예기하고 있는데, 우리나라 조직 구조를 보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넷째, 토론을 통해 결정한다.

멀티플라이어는 토론의 장을 만들어 조직 구성원들이 토론을 통해서 답을 도출해 내도록 하지만 디미니셔는 자신이 결정을 이미 해 논 상태로 토론을 이끌어 직원들이 스스로 해답을 찾아서 나아가도록 하지 못하는 우를 범한다는 예기였다.

 

 다섯째, 주인의식과 책임감을 심어준다.

멀티플라이어는 투자자로써 조직 구성원들이 스스로 주인의식을 가지고 책임감 있게 업무를 할 수 있도록 시간과 모든 면을 투자하지만, 디미니셔는 간섭자로 모든 부분에 관여함으로써, 조직의 활기를 잃도록 한다는 것인데, 이 부분도 참으로 공감이 가는 부분이었다.

 

 이렇게 이 책은 멀티플라이어가 되기 위한 5가지 원칙을 소개하고는 누구나가 멀티플라이어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섯 가지 중에 가장 강한 것과 가장 약한 것을 찾아서 우선 좋아지도록 하는 것이 멀티플라이어로 가는 길임을 제시하고 있었다.

 한 조직을 맡아서 운영한다는 것은 많은 스트레스와 함께, 기회도 동반하며, 자기 발전의 계기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것들을 생각하기에 정말 좋은 책으로 생각되었다. 물론 서양적인 시각과 서양의 회사들의 인재들을 연구한 것을 바탕으로 해서 기획된 책이라서, 동양적인 정서랑 맞지 않는 부분도 없지 않아 있지만, 글로벌 시대에 맞추어 현재 조직의 리더이거나, 리더가 되고자 하는 이들에게 알찬 지혜를 들려 줄 수 있는 책으로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