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몹시도 수상쩍은 과학 교실 ㅣ 와이즈만 스토리텔링 과학동화 시리즈
서지원 지음, 한수진 그림,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 감수 / 와이즈만BOOKs(와이즈만북스) / 201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과학이라는 것이 일상생활의 것들에 대한 호기심과 문제해결을 위해서 생겨났다는 것을 알기에는 지금 성인인 내가 경험했던 과학시간은 너무나도 재미없고, 암기위주의 공부가 아니었나하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지금의 우리 아이들이 과학을 공부하는 방법이나, 무언가를 알아가는 것에 대해서 보고 있자면, 정말 경험에서 우러나서, 또한 만져보고 느낌으로 알아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더욱더 느끼게 되는데, 이러한 것을 생각해 보면, 과학에 대해서 흥미를 유발해 줄 수 있는 책이 많이 출간되어서 아이들에게 읽혀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의 책 “몹시도 수상쩍은 과학교실”은 그 어떤 책보다 아이에게 과학에 대해서 흥미를 유발시켜 주고, 기존에 자신이 알았던 것을 더욱더 이해하도록 해 주었으며, 궁금했던 것에 대한 해답을 명쾌하게 보여준 책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랑 같이 읽으면서 아이의 눈높이에서 이야기를 하는 공부균 선생님의 목소리가 어느덧 나의 목소리가 되었으며, 아로라는 말썽꾸러기는 이미 우리 아이들이 궁금하게 생각하는 것들을 예기하는 하나의 문이 되어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정말 우리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아이들이 흥미를 가지면서 궁금해 할 질문들을 이 책의 주인공 아로의 입을 통해서 예기하고, 그에 대한 해답을 보여주기 위해서 엉뚱한 실험과 기계 장치들을 동원해서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그에 따라서 아이들의 호기심의 끈을 계속 잡고 이야기를 들을 수 있도록 해 주는 구성도 마음에 쏙 들었다. 무엇보다도 아이들이 집중을 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는 것이 좋았다.
책의 내용 중에 기체를 예기하는 부분에서 두 그릇이 끼어 있을 때, 찬물과 따뜻한 물을 부어서 그릇을 떼어 내는 것이 기체의 부피 차이를 이용한 것이라는 것을 읽으면서, 이렇게 실생활에 과학이 많이 사용되고, 이에 관련된 ‘샤를의 법칙’이 오래 전 공부시간에 무작정 외우기만 했던 법칙이라는 것을 생각해 보니, 정말 이렇게 공부하는 것이 오랜 시간 기억에 남겠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같은 책을 읽고,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아이들이 궁금해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보고, 같이 토론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는 것도 이러한 책의 장점이 아닐까한다. 같은 책을 읽고 그 내용을 예기하면서 가족들과 함께 웃을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는 것도 책읽기를 같이 하는 재미가 아닐까 하면서, 재미있게 과학공부를 하도록 유도해 주는 와이즈만 북스의 다른 책들도 궁금해 하는 아이의 목소리가 너무나도 밝게 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