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보스포럼, 자본주의를 버리다 - 포스트 캐피털리즘: 다시 성장이다
매일경제 세계지식포럼 사무국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매년 각국의 경제 석학들과 정치 거물들이 스위스의 조그마한 도시 다보스에 모여서 하는 포럼이 어느덧, 한 해를 시작하면서 우리들에게 그 해의 경제전망을 내다보면서, 어떻게 해야 할 지에 대한 예측을 하도록 만들어 주었는데, 올해 2012년 다보스 포럼은 그 의미와 방향이 달라 보인다. 그러하기에 이 책 [다보스포럼, 자본주의를 버리다]라는 책이 우리들에게 의미 있게 다가오는 것은 아닌가 한다.
무엇보다도 “대전환:새로운 모델의 형성”이라는 새로운 시대적인 화두를 제시한 이번의 다보스 포럼에서 각국의 정상들 뿐만 아니라, 경제석학들까지도 모두들 지금까지의 자본주의가 정말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었는지에 대한 반성과 더불어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 지에 대한 지혜를 모은 자리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큰 올해의 포럼에 대해서 이렇게 정리된 형태의 책으로 만나게 되니, 지금의 유럽 재정위기의 소용돌이 속에서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스페인의 국채 이자 상승에 따른 IMF 지원 요청 등의 안개 속에서 어느 정도 시개를 확보하도록 이끌어 주는 바가 있는 책이었다.
무엇보다도 아시아의 시대에 관심이 가는 것은 우리나라가 아시아존에 있어서 일뿐만 아니라, 기존에 아시아를 바라보던 입장과는 많이 달라진 다보스포럼의 눈과 더불어,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부분이 눈에 들어왔다. 그것도 우리나라가 인구 변화에 따라서 어떻게 될 것이며, 이에 따라서 지금부터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견해는 정말 대한민국의 위정자들이라면 꼭 한 번쯤 숙고해 봐야 할 부분이 아닌가 한다.
정치학도나 경제학자가 아니더라도 매년 스위스의 조그마한 도시에서 열리는 이 다보스포럼에 즈음하여 발표되는 여러 석학들의 견해에 대해서, 또는 대비되는 의견의 토론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해 보게 되는데, 이 책은 이러한 것들을 하나로 묶어서 보기 좋게 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독자들이 길을 잃지 않고, 지금의 트랜드,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지도록 배려를 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부 대담이나 석학들의 자료는 언론 기사에서 이미 접했던 부분도 있었으나, 그 중요성이 있었기에 이 책에 다시 실렸으리라는 생각을 해 보게 되었으며, 이 책을 통해 지금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앞으로 어떤 일어날 수 있는 경제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 것이 좋을 지에 대한 생각을 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좋았다고 생각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