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전 종목 발굴 기법 - 급등 종목을 초기에 잡아내는 실전 기술
마틴 J. 프링 지음, 신가을 옮김 / 이레미디어 / 201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과 같은 힘든 투자의 시간에 어떠한 종목을 고를 것인가에 대한 확고한 투자 철학이나 방법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하는 생각을 투자자라면 누구나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는데, 이 책은 그러한 면에서 어떻게 종목을 고를 것인지에 대한 해답을 주도 있다.
사실 주식 투자를 하면서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에 대해서는 이미 들어서 알고 있으며, 많은 기술적 지표들에 대해서도 이미 어느 정도 익숙한 감이 있는데, 이 책에 나오는 상대 강도란 개념은 정말 처음 접하는 것으로 너무나 신선하면서도 도움이 많은 되는 개념이었다.
상대 강도 개념을 이해하고 나면, 이 책에서 예기하고 있는 다이버전스, 이동평균 교차, 휩소, 스토캐스틱, 주가 오실레이터 등에 대한 예기를 하는 부분을 읽으면서 고개를 끄덕이게 될 것이지만, 상대 강도라는 개념에 대해 이해를 하지 못한다면, 다소 어렵고 힘든 책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너무나 어려운 것이 기술적 분석이며, 이에 대한 여러 가지 기법과 방법들이 소개되어져 왔기에,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기술적 분석도 그렇게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들은 아닌 것 같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적 분석은 두고라도, ‘금융시장과 비즈니스 사이클’을 아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며, 이러한 사이클을 살펴 봄으로써 투자의 시기를 조절할 지혜를 얻을 수 있다면, 이 책의 가치는 충분하리라는 생각이 든다. 이러한 비즈니스 사이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업종 순환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에 대한 사항을 다루게 되는데, 이 부분은 정말 투자를 함에 있어서 어떤 섹터를 골라야 할 지에 대한 지혜를 얻을 수 있는 부분이었다.
투자는 언제나 어렵다라는 말을 하게 되는 것은, 아무리 뛰어난 기술적 분석도 시장에서 항상 들어맞지 않으며, 수익과 직결되지 않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과 더불어, 이 책에서 배우게 된 기술적 분석과 금융시장의 사이클을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앞으로 투자를 함에 있어서 잃지 않는 투자를 할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