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플 수도 없는 마흔이다
이의수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언제 어떻게 청춘이 지나갔는지도 생각할 겨를이 없이 바삐 살아온 우리 나라의 40대 중의 한 명이 되고 보니, 정말 왜 그렇게 바쁘게 살았는지, 또 왜 힘들다는 말을 못했는지에 대한 후회와 더불어, 그렇다면 누구에게 힘들다는 말을 할 수 있을 지, 주변을 둘러 보다 보니 더욱더 서글퍼 지는 것이 오늘날 이 땅에 살고 있는 마흔이라는 나이를 넘긴 우리들 기성 세대의 모습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그래서 그런지, [아프니까 청춘이다]라는 책을 읽을 때와는 전혀 다른 느낌으로 읽었던 책이 아닌가 싶다. 뭐럴까 드라마를 보면 주인공에게 감정이입이 되어서 막 화도 냈다가, 기뻐도 했다가 하는 우리네 아줌마들같이, 이 책을 읽으면서도 나도 모르게 절로 가슴이 먹먹해 지기도 했다가, 고개를 끄덕이며 동감을 하기도 하고 했다.
우선 첫 번째 예기에 나오는 친구에 대한 것이 정말 지금 불혹이라는 마흔을 넘어서 되돌아볼 때, 아직도 사회에서 인간관계를 맺으며 고민해야 하고, 어릴 때 친구들조차도 그네들이 타는 차나, 사는 동네, 연봉 등에 의해서 비교해야 하는 현실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어서 참으로 서글퍼졌다. 정말 누구의 말처럼 내 무덤에 초대하고 싶은 진실한 친구가 과연 몇이나 될지를 생각해 보게 만드는 예기였다.
그리고 책 중간에 나오는 하우스푸어의 예기는 또한 어떠한가? 우스개소리로 ‘거실과 작은방은 은행꺼’라고 하면서 집을 장만해서 열심히 대출을 갚아가다 보면, 그 집에 매달리게 되는 우리네 마흔을 넘긴 가장의 모습이 이 땅을 살아가는 중년의 모습이자, 우리네 아버지의 모습이 아닌가?
또한 주식투자를 예기하는 부분에서도 정말 공감되는 부분이었으며, 아버지라는 이름으로 한 가정을 책임지고 가야 하는 무게와 더불어, 가족이라는 행복 발전소를 예기하는 것에 이르면 정말 약간 눈망울이 촉촉해 지는 것은 아마도 나이가 들면서 여성호르몬의 분비가 더 많이 되어서 그런가 보다 하고 웃어 넘기게 되었다.
이 책은 아프지만 아픔을 예기하지 못하는 이 땅의 마흔 이상의 중년을 대변하는 책으로, 젊은이에게는 자신의 아버지, 어머니가 왜 아픈지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주고 있으며, 중년의 나이에 이 책을 읽는 경우는 동질감과 더불어 자신의 삶을 한 번 더 관조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