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수업 - 나이에 지지 않고 진짜 인생을 사는 법
가와기타 요시노리 지음, 장은주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나이를 먹어가면서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되고, 가진 것이 많아지기도 하지만 그만큼 또 희생하고 버려야 하는 것도 많아짐을 느끼는 그런 때가 바로 중년으로 넘어가는 때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리고 불혹이라 하여 어느 것에도 의심을 하지 않는다는 나이 사십을 넘기면서 왜 이렇게 많은 일들에 대해서 고민하고, 결정해야 함에 스트레스를 받는 지 모르겠다고 생각하는 순간 순간의 나날을 보내게 되는 것이 아이러니하게도 중년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은 이러한 중년들에게 앞으로의 삶을 어떻게 살아가야 할 지에 대한 하나의 교과서와도 같은 책이라는 생각이 들도록 만들어 주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책 제목도 [중년수업]인가 보다.

 보통 은퇴를 하면 그 동안 가보지 못했던 곳을 여행한다던가, 산을 정복하듯이 수많은 곳을 오르거나, 그 동안 배우지 못한 것들을 배우려고 에너지를 쏟곤 하는데, 저자는 이렇게 무언가를 해야만 하는가? 하는 질문을 던지고 있는데, 정말 가슴에 와 닿는 것이었다. 이미 사회생활을 하면서 그토록 많은 것들을 성취하기 위해 달려왔으면, 이제는 좀 느리게 가는 법, 여유를 가지는 법을 배워야 하지 않겠냐는 지혜의 말을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자세를 가지기 위해서 현직에 있을 때 자신이 정말 좋아하는 것에 취미를 가지고, 삶을 길게 보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데, 정말 현재 현직에서 열심히 뛰면서 잠시 뒤돌아보면 너무나도 적막한 심정이 드는데, 이러한 때 정말 우리들에게 청량음료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는 취미나, 마음이 맞는 이성친구를 두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저자는 너무나도 잘 알고 있는 듯 했다.

 또한 은퇴 후 젖은 걸레, 삼식이라는 말을 듣지 않기 위해서는 자신만의 취미와 여가 생활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진정 자신이 하고 싶은 것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부부도 같이 늙어가면서, 가끔은 같은 취미를 하고, 가끔은 다른 취미를 하면서 각자의 시간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자세도 가져야 한다고 하는데, 정말 맞는 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로 가면서 요즘 너무나 많이 예기되고 있는 인생 2막에 대해서 예기하는 칼럼들이 정말 많은데, 대부분이 은퇴자금으로 얼마를 모아야 하며, 그것을 위해서 지금 어떤 금융상품에 가입해야 하며, 자산관리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예기가 대부분이라면, 이 책은 그러한 예기가 아닌 정말 생활 속에서 우리가 어떻게 앞으로 다가올 노년을 준비하고, 인생의 마지막을 담담히 받아들일 것인가에 대한 지혜를 담고 있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