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처럼 생각하고 한비처럼 행동하라 - 한 권으로 읽는 도덕경과 한비자
상화 지음, 고예지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고전을 읽는 것은 다소 따분하기도 하고, 어쩌면 너무나 어렵다고 느껴지기도 하지만, 우리들이 옛 것에서 배우게 되는 것은 이 빠르게 변화하는 물질 세계에서 천천히 가는 것이 결코 늦게 가는 것이 아니고, 이루지 못하는 것이 아님을 알기 위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보곤 했는데, 이전에 노자, 장자, 공자 등의 중국 선현들의 예기를 읽으면서는 그 분들의 삶에 대한 전기를 읽는다는 생각이 들었다면, 이 책은 정말 생각을 하는 것과 행동하는 것에 대한 것을 노자와 한비자의 사상에서 빌려와서 나에게 알려주고 있는 듯 하였다.

 저자가 한국 사람이 아니라서 그런지 책의 구성이나, 운율 등의 필체는 다소 낯설지만, 중국의 사상가들인 노자와 한비자에 대해서 자국민만큼 잘 설명할 수 있는 경우가 없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다소 지루하게 시작되는 이 책을 끝까지 읽는 인내심(?)을 가지게 되었다. 책의 서두를 읽다 보면 익숙하지 않은 글들과 구성을 만나서 다소 길을 잃기도 하지만, 이내 노자와 한비의 사상에 젖어들 수 있는 것은 이 책이 가진 또 다른 매력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 같다.

 무위자연을 말하고는 홀연히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을 산 노자와 법가 사상을 논하며 제왕에 의해 다스려 지는 제후국을 논했던 한비는 너무나도 그 사상과 삶이 대조되는 데, 이 두 거목의 삶과 사상을 한 권의 책으로 읽을 수 있다는 것도 또한 상당히 흥미로운 일이었다.

 오늘날 왜 우리들은 인문학에서 새로움을 발견하려고 하고, 그 오래된 지혜로부터 최첨단의 기술로도 찾을 수 없고, 볼 수 없는 무언가를 보려고 하는 것일까하는 생각을 하고 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정말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었다. 처세를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 지, 나 자신이 갖추어야 할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지혜도 배울 수 있었다.

 이번 여행과 동행한 이 책은 현재의 복잡하고 빠르게 움직이는 삶에서 한발 떨어져서 바라보는 여유와 더불어, 자연과 하나가 되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생각해 보고, 실제 삶을 살아가면서 어떻게 행동해야 할 지에 대한 지혜도 배울 수 있었다.

 마음을 다스리기 위해서는 노자의 도덕경에서 예기하는 무위자연만한 것이 없을 것 같으며, 한비가 예기하는 냉철한 태도로 현실을 보는 것과 법에 의해 냉철하게 무언가를 결정하는 것에 대한 예기는 그 옛날 제왕들이 일국을 이끌며 가졌던 지혜이듯이, 오늘날 조직을 이끌어가야 할 리더들에게 지혜를 주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해 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