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그 설명할 수 없는 - 사랑을 움직이는 아홉 가지 비밀
율리아 파이라노.산드라 콘라트 지음, 박규호 옮김 / 쌤앤파커스 / 2012년 1월
평점 :
절판


바쁜 현대인들이 가장 목말라하는 것들이 명품, , 고급승용차 등이 아니라 자신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라는 것을 생각해 볼 때, 우리는 늘 사랑에 목 말라 있지는 않은지 한 번 생각해 볼 문제이다. 그런데, 이러한 사랑에 대해서 학문적으로 심리학적으로 들여다 본 적은 없는 듯 하다.

 늘 주변의 친구들이나 가족들, 아니면 애인에게 관심과 애정이 부족하다면서, 같이 하는 시간을 내어 줄 것을 요구하거나, 아니면 같이 활동할 취미를 가질 것을 예기하고, 밤에 잠자리에 들기 전에 안부 통화를 길게 해야 함을 예기하는 것은 우리들이 모두 이러한 사랑을 우리들에게 맞는 방식으로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되는 것이 이 책이다.

 이 책은 심리학자들에게 의해서 집필 되어져서 그런지, 다분히 논술적인 구성과 조금은 따분한 구성을 하고 있어서, 이 분야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라면 읽는 속도가 잘 나지 않을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다양한 에피소드들을 들어서 독자들에게 쉽게 이해를 하도록 유도하고 있지만, 사실 책의 초반부에는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많았다. 현학적으로 구성되어져 있는 서적들에 비해서 사랑의 심리학적인 부분, 어릴 때의 영향으로 인해 생기는 성인들의 애정에 대한 집착의 정도를 설명하는 부분들에 있어서 정말 동감 가는 부분도 많이 있다.

 관계 성격이라는 처음 들어보는 단어를 통해, 우리들이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하여 사랑이라는 영향력 속에 함께 할 때, 우리들이 어떻게 반응하는 가에 따라서 우리들의 관계 성격이 어떠한 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우리들이 앞으로 사랑을 할 때, 어떤 점을 중점적으로 보아야 하며, 보완해서 다른 사람의 마음을 생각해야 할 지에 대한 지혜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사랑할 때 나타나는 사랑 자아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들이 사랑을 할 때 우리들의 자아가 어떻게 형성되며, 이는 또 사랑을 해 나감에 있어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 보아서, 서로를 사랑하는 데 있어서의 지혜를 알 수 있도록 해 주고 있다.

 다소 어렵게 느껴진 이 책을 끝까지 읽고 나니, 지난날 내 자신의 사랑에 대해서도 돌아보게 되고, 지금 현재 사랑하는 가족들과의 관계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행복한 사랑을 위해서 어떻게 해야 될 지에 대한 밑그림을 그릴 수 있었다. 이 책은 사랑에 대한 생각, 행복에 대한 그림을 그리도록 해 주었다는 데 정말 큰 의미를 둘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