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아는 미국은 없다 - 지금 미국을 다시 읽어야 할 이유 52
김광기 지음 / 동아시아 / 2011년 9월
평점 :
절판


하루 자고 일어나면, 미국의 신용등급이 강등되고, 유럽의 이태리 신용등급도 강등되고, 그리스디폴트 예기가 나오는 등, 정말 세계경제가 어떠한 소용돌이 속에서 움직이는 지 가늠하기 힘든 지금의 시점에서, 미국의 현재 상황을 알 수 있다면 투자를 함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잣대를 가질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에 읽기 시작한 책이 이 책 “우리가 아는 미국은 없다” 였다.
우리가 아는 미국은 아메리칸 드림으로 대별되는 곳이며, 세계 경제를 움직이는 한 축으로써 G2라고 불리는 중국과 더불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는 나라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이 책 속에서 비쳐지는 미국은 정말 너무나 우리가 평소 알고 있던 것과는 차이가 난다. 미국의 중산층이 화나서 월가시위를 한다는 뉴스를 보면서, 정말 그렇게 심각한가를 생각하곤 했는데, 이 책을 다 읽고 나서는 정말 그들의 현실이 이해가 되면서, 투자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직감하게 되었다.
이 책에서 미국가정들의 닭을 기르게 되면서, 병아리의 판매가 급증했다는 부분을 읽으면서, 무슨 농촌에서 닭을 길러서 가금류를 판매하는 사업이 늘어서 그런 것이 아니라, 도시의 사람들이 당장 자신들의 식탁을 위해서 닭을 기른다는 것과 그것도 각 가정마다 기를 수 있는 마리수를 제한하는 법률까지 있다는 글을 읽으면서는 정말 아연실색하게 되었다.
이렇게 까지나 미국 중산층이 힘들어 하는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미국이 이전과 어떻게 다른가하는 부분에서 저자가 심각하게 생각한 부분이 경제적인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전통적으로 가지고 있던 가치관인 신뢰를 잃어가는 부분이 정말 미국이 쇠퇴하는 데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을 읽으면서, 미국의 쇠퇴를 정말 심각하게 생각해 보게 되었다. 금융위기 이후 가장 피해야 되는 일 중의 하나도 신용경색에 따른 자본이동의 막힘이었는데, 이러한 것도 모든 것들이 신뢰에 대한 부분인 것을 돌이켜 생각해 보면, 정말 우리가 아는 미국은 지금의 모습에서는 없는 듯 하다.
이 책은 경제적인 통계나 그런 것들을 통해 독자들에게 미국의 현황을 예기하기 보단, 실제 미국의 가정이나 삶에서 일어나는 것들을 예기함으로써 더욱더 실감나게 미국의 현실을 느끼게 해 준다는 데 있어서, 요즘과 같이 변동성이 심한 장에서 쉬면서 읽기에는 좋은 책으로 주변에 권해 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