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아시아 모멘텀 - 아시아는 세계의 미래이자 한국의 미래다
장대환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에 일본 출장을 가면서 어떤 책을 읽을까 하면서 고민하다가 찾아서 읽게 된 책이 [원아시아 모멘텀]이었다. 매일경제신문사, mbn 회장이신 저자 장대환이란 분에 대해선 일전의 세계지식포럼에서 집행위원장으로 각국의 석학들과의 대화를 하는 것을 신문지상으로 보아 왔던 지라, 그 분이 원 아시아를 바라보는 시각은 또 어떠한 지 궁금하기도 해서 선뜻 가방에 넣고, 국내공항에서부터 비행기 안에서 내내 읽게 되었다.
정말 저자가 프롤로그에서도 언급했듯이 이 책은 원 아시아를 생각하기 위한 입문서로 만들어졌다는데 대해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동의하게 되며, 책의 내용 하나하나를 따라가다 보니, 어느새 아시아의 역사, 그리고 아시아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 원 아시아가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 그리고 그 속에서 우리나라 대한민국의 현재 위치는 어디이며, 향후 어디를 향해 나아갈지에 대한 저자의 식견이 모두 녹아 있는 책이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원 아시아를 규정함에 있어서 지리적 범위에 국한하지 않고, 지난 시절 징기즈칸이 이룩했던 하나의 아시아에 버금가는 몽골제국을 생각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독자들에게 아시아의 범위를 어떻게 마음 속에 가질 것인가하는 물음에 대한 답을 넌지시 제시하고 있다. 몽골제국과 같이 문화적, 종교적인 포용과 더불어, 다양성을 이해하는 원 아시아가 되어야 하며, 이런 원 아시아가 이루어 지기 위해선 한, 중, 일의 공동 노력이 중요하며, 또한 여러 각국들의 상호 존중과 이해에 바탕이 된 경제공동체, 문화공동체를 생각해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사실, 이 책은 저자가 말한 대로 하나의 입문서와도 같기에 다소 학문적인 책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다양한 통계 자료를 책 중간 중간에 사용하고, 골드만 삭스가 제시한 자료나,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세계적인 구루들의 말을 인용하기에 너무 학문적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것들이 이 책의 구성을 더 탄탄하게 만들고 있다는 생각이 들며, 그러하기에 이 책 속에서 우리들에게 제시된 원 아시아의 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해 주고 있다.
여태 우리들이 바라만 봐왔던 서구 사회가 이젠 우리들 아시아를 바라보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을 생각하게 만드는 이 책은 이제 우리들,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 우리들이 아시아를 바라볼 때이며, 아시아를 어떻게 바라볼 것이며 향후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어떤 일들을 해야 할 지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하기에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언론에서 너무나 자주 들어 익숙한 G2 라던가 하는 것의 의미가 어떤 것인지 좀 더 확실히 각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러한 세계 경제 정세의 변화 속에서 우리들은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도 또한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책으로, 현재 아시아를 주 무대로 활동하는 경제인 뿐만 아니라, 가까운 미래에 아시아를 자신의 활동 무대로 하고자 하는 대학생들이나 예비창업자들이 읽으면 정말 좋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