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승자의 음모 - 위험천만한 한국경제 이야기
조준현 지음 / 카르페디엠 / 2011년 5월
평점 :
책 제목부터 다분히 부정적이며, 조금 냄새가 나는 듯한 인상을 주는 이 책을 집어 들고 읽게 된 것은 지금의 대한민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수 많은 일들에 대해 어떤 시각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지 궁금해서였다.
사실 언론의 편향된 기사나 사설에 의해 우리는 너무나도 한 방향으로만 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 생각해 볼 시간을 가져 보기에 알맞은 책이라는 생각을 하면서 이 책의 내용 하나 하나를 읽어 나가다 보니, 어느 부분은 다소 모호한 부분도 없지 않아 있었지만, 그래도 나름 객관성을 가지고 현재의 대한민국에서 예기되고 있는 일들에 대한 저자의 생각을 그려나가고 있구나하는 느낌을 가질 수 있는 책이다.
우리는 수출지향적인 나라이며, 정말 GDP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OECD 국가 중에 최고라는 사실을 이미 널리 알려진 바이나, 이러한 수출지향적인 나라가 된 역사적인 배경과 이유는 알지 못한 채, 무조건 수출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는 언론의 기사를 접하면서, 수출전선에 이상이 생기면 안 된다는 강박관념에 정부가 펴는 고환율정책을 그대로 받아들이곤 하지 않았던가하는 생각을 해보게 해 주었다. 사실 이 부분에서 장하준의 사다리 걷어차기 등에서 나오는 보호무역과 여러 가지 논조를 반박하는 부분이 조금은 너무 지나쳐 보인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이 책의 전체 의도를 다소 벗어 나지 않았는가하는 느낌 때문이었다.
그리고, 노동시간과 생산성과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우리나라만큼 근무시간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은 자본가들이 똑똑하지 못해서라는 저자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게 되기도 했다. 정말 우리의 근로시간은 어느 나라보다 많으며, 부지런하다라는 소리를 듣지만, 실제로 야근은 대부분 부장님이 남아계시니까, 아님 사장님이 아직 퇴근하지 않으셔서와 같은 눈치보기의 회사생활에서 비롯된 것은 아닌가 하고 생각해 볼 문제이다.
부동산에 관한 저자의 시각도 지금의 전세난을 생각을 해 보면, 정말 어느 정도는 수긍이 가는 부분이나, 정말 민주주의 사회에서 사는 것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보게 된다. 얼마 전에 읽은 [회의주의자를 위한 경제학]에서 읽으면서 자세히 알게 된 “신고전파 경제학”과 “마르크스경제학”과 같은 시대를 따라서 살아 움직이는 듯한 경제학의 관점에서 봤을 때, 정말 현실과 괴리를 가지는 정부 정책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를 생각하곤 했는데, 이 책의 저자가 부동산이라는 문제를 정말 현실에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해 솔직 담백하게 예기하는 부분은 정말 재미있다고 말하고 싶다.
승자들만이 독식하는 사회가 아마도 약육강식의 자연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지라도 인간사회에서는 승자들만이 독식하는 사회가 되지 않아야 함은 보편적인 진리임을 알기에 이 책에서 말하는 승자들의 음모는 다소 무섭기도 하고, 어느 부분에 있어서는 너무나 먼 예기로 느껴지기도 한다. 하지만, 이 책이 오늘날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평범한 독자들에게 던지는 방향은 상당할 것이라는 생각이 드는 것은, 이 책을 읽은 한 사람의 독자로서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이나 신문을 읽는 시각을 바꿀 수 있는 하나의 계기가 이 책이었다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으면 모두 다 편협된 시각이 아닌, 보편적인 시각, 다양한 방면으로 현재를 볼 수 있는 눈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