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는 첫 번째 선생님 - 1등을 강요하는 대신 방법을 알려줘라
전상희 지음 / 맘에드림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책 제목과 표지를 보고 책을 고른다는 것은 사실 무척이나 드문 일이지만, 이 책은 그런 상식(?)을 깨버린 책 중의 하나다. 책 제목인 “엄마는 첫번째 선생님”은 그 제목만으로도 너무나 강하게 각인이 되어 버리는 것이, 첫 아이를 키우면서 느낀 것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말이어서 그러했고, 책 표지에 있는 등을 보이고 있는 아이가 칠판에 무언가 의미를 알 수 없는 그림을 그리고 있는 것을 보면서 또 한 번 첫 애가 마구마구 낙서를 하던 것이 생각이 나면서 몇 장 읽지도 않고 선뜻 구매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나 할까!
그래서 그런지, 이 책의 처음에 나오는 감정도장이라든지, NIE(Newspaper in Education)이라는 것들을 읽으면서 정말 아이들과 같이 해 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며, 무엇보다도 아이들이 그린 난화를 통해서 아이들과 대화를 하고 아이들의 창의력을 키운다는 부분에서는 절로 탄성이 터져 나왔다. 첫 아이와의 그림 그리기가 생각난 탓인 것 같다.
부모가 되고 아이들이 자라면서 제일 먼저 우리는 아이들의 부모이자 첫번째 선생님이 되지만, 어느 것 하나 준비되지 않고 배우지 않은 상태에서 어느새 부모라는 무게와 첫번째 선생님이라는 또 다른 무게를 감당하게 된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이러한 부모이자 선생님인 엄마의 자리를 생각하고 정말 하나하나 자세히 가르쳐 주는 하나의 교육 입문서와도 같다는 느낌이 드는 책이다.
아이들에게 공부해, 또는 숙제는 다 했니? 라는 말을 하지 않고, 아이가 스스로 자신의 행복을 위해 공부할 수 있는 자세와 환경을 만들어 준다는 것이 실제로 아이들을 기르다 보면, 무슨 책 속에 있는 이상향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이 책은 그런 엄마들의 욕심보다는 아이들의 감성을 먼저 발달시키고, 아이의 감정을 우선 존중하고 파악하라는 지혜의 글로써 깨우침을 주고 있다. 우리는 너무나 우리들이 받았던 교육 방법과 환경에 익숙했던 나머지 우리 아이들에게 너무나 똑 같은 잣대를 들어대어 아이들이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는 생각해 보지 않고, 무작정 아이들에게 1등을 강요하곤 한다는 사실을 깨닫는 순간 소스라치게 놀라면서 이 책이 주는 교훈을 하나 하나 더욱더 진지하게 받아들이게 된다.
첫번째 선생님인 엄마가 우선 해야 할 것으로 기본원칙을 제시한 후, 생활습관부터 확실하게 잡아라는 교훈을 주고, 공부습관에 맞추어 세부적인 계획을 세워라는 지침을 주고, 꿈과 목표를 확실하게 세우라는 지혜의 글과 더불어, 부족한 우리 아이 행동고치기 등을 보여주는 이 책은 정말 엄마들에게 진정으로 아이들과 함께 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아이들의 행복을 위해서 아이들이 스스로 느끼고 실천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끌어 준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예기해 주고 있다. 책 중간 중간에 있는 독서 노트, 실행 계획표 등의 각종 양식은 정말 아이들이 스스로 공부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것들이 무엇인지를 엄마에게 가르쳐 주면서, 우리 아이들에게 바로 만들어서 보여주어, 아이들이 작성해 보도록 할 수 있다는 데에서 정말 고마운 부분이었다.
이 책은 정말 엄마라는 말이 뜻하는 바가 무엇인지, 아이들에게 첫번째 선생님으로서의 부모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 자세히 예기해 주고 있어, 아이를 둔 부모에게도, 앞으로 부모가 될 예비부모에게도 정말 소중한 책으로 생각이 되며, 주변의 학부모들에게 꼭 읽어보라고 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